[투자] 강화학습을 위한 자산 격자 생성과 수식 해석

💹 강화학습을 위한 자산 격자 생성과 수식 해석 – 통계적 자산 범위까지 완벽 이해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은 점점 더 금융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특히 재무 계획, 포트폴리오 최적화, 목표 기반 투자(goals-based investing) 같은 분야에서, 강화학습은 매우 강력한 툴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강화학습을 적용하기 전에 반드시 필요한 단계인 자산 상태 공간(state space) 구성 방법과, 그 핵심인 **자산 격자(wealth grid)**를 수학적으로 어떻게 정의하고 해석할 수 있는지 설명하겠습니다. 🧠 강화학습에서 상태(State)란? 강화학습에서 에이전트(agent)는 매 시간마다 환경(environment)으로부터 상태(state)를 받아 의사결정을 내립니다. 재무 환경에서는 상태가 보통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현재 자산 보유량: W t W_t 현재 시점: t t 그러나 자산 W t W_t 는 연속적이고 확률적인 값 이므로, 이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이산화(discretization)**하여 다루기 쉽도록 격자 형태로 변환합니다. 이를 **자산 격자(wealth grid)**라고 합니다. 📈 자산은 왜 로그정규분포를 따르는가? 우리는 시간에 따른 자산의 진화를 수학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하 브라운 운동(GBM)**으로 모델링합니다: W t = W 0 ⋅ exp ( ( μ − 1 2 σ 2 ) t + σ t Z ) W_t = W_0 \cdot \exp\left( \left( \mu - \frac{1}{2}\sigma^2 \right)t + \sigma \sqrt{t}Z \right) 여기서: μ \mu : 기대 수익률 σ \sigma : 수익률의 변동성 Z ∼ N ( 0 , 1 ) Z \sim \mathcal{N}(0,1) : 표준 정규분포를 따르는 난수 이 식은 양수만 갖는 자산 값을 자연스럽게 설명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