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기하급수의 합 공식, 어떻게 유도될까?
기하급수의 합 공식, 어떻게 유도될까? 학교 수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기하급수(geometric series) . 공식만 외우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간단한 아이디어로 유도할 수 있습니다. 1. 유한합부터 시작하기 기하급수의 n n 항 합은 다음과 같습니다. S n = a + a r + a r 2 + ⋯ + a r n − 1 S_n = a + ar + ar^2 + \cdots + ar^{n-1} 여기서 a a 는 첫째항, r r 은 공비입니다. 이제 양변에 r r 을 곱해봅시다. r S n = a r + a r 2 + ⋯ + a r n − 1 + a r n rS_n = ar + ar^2 + \cdots + ar^{n-1} + ar^n 2. 두 식을 빼기 S n − r S n = a − a r n S_n - rS_n = a - ar^n 즉, ( 1 − r ) S n = a ( 1 − r n ) (1-r)S_n = a(1-r^n) 따라서 r ≠ 1 r \neq 1 일 때, S n = a ( 1 − r n ) 1 − r \boxed{S_n = \frac{a(1-r^n)}{1-r}} 👉 이것이 유한한 기하급수의 합 공식 입니다. 만약 r = 1 r=1 이라면 단순히 S n = n a S_n = na 가 되겠죠. 3. 무한급수로 확장 이제 무한히 더하는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무한급수의 합은 단순히 “끝까지 더한 값”이 아니라, 부분합의 극한값 으로 정의됩니다. S = lim n → ∞ S n = lim n → ∞ a ( 1 − r n ) 1 − r S = \lim_{n \to \infty} S_n = \lim_{n \to \infty} \frac{a(1-r^n)}{1-r} 여기서 핵심은 ∣ r ∣ < 1 |r| < 1 이면 r n → 0 r^n \to 0 이 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S = a 1 − r ( ∣ r ∣ < 1 ) \boxed{S = \frac{a}{1-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