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PTC 히터도 PID 제어가 가능할까?

 

 PTC 히터도 PID 제어가 가능할까? – 소형 온실 온도 제어의 새로운 접근

소형 온실, 발아기 등에서 사용하는 PTC 히터는 안전성과 자체 온도 조절 특성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PTC 히터도 PID 제어를 통해 더욱 정밀하고 부드러운 온도 관리를 할 수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PTC 히터의 PID 제어 가능성과 구현 시 주의사항, 그리고 간단한 아두이노 예제까지 알아봅니다.


1. PID 제어란?

PID 제어는 목표 온도와 실제 온도 차이(오차)를 바탕으로 히터 출력을 세밀하게 조절하는 제어 기법입니다.

  • P(비례): 오차 크기에 비례해 출력 조정

  • I(적분): 과거 오차 누적 보상

  • D(미분): 오차 변화율 감지해 과도 반응 방지

이 세 가지를 조합해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합니다.


2. PTC 히터, PID 제어가 가능한가?

✅ 가능은 하다!

  • PTC 히터도 전원 인가량(전압, 전류)를 조절하면 발열량이 변하기 때문에 PID 제어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특히 MOSFET이나 PWM 제어 가능한 SSR과 함께 사용하면, PWM 신호로 출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주의할 점

  • PTC 특성상 온도가 오르면 저항이 급격히 올라가 발열이 줄어들어, 출력과 온도의 관계가 선형이 아니고 비선형적입니다.

  • 따라서 PID 튜닝이 조금 까다롭고, 과민 반응이나 진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PID 계산 주기는 너무 짧지 않게 (5초~10초 이상 권장) 해야 안정적인 제어가 가능합니다.


3. 구현 예시 (아두이노 + DS18B20 + MOSFET + PTC 히터)

#include <OneWire.h> #include <DallasTemperature.h> #include <PID_v1.h> #define SENSOR_PIN 2 #define HEATER_PIN 3 OneWire oneWire(SENSOR_PIN); DallasTemperature sensors(&oneWire); double Setpoint = 25.0, Input, Output; double Kp = 2.0, Ki = 5.0, Kd = 1.0; PID myPID(&Input, &Output, &Setpoint, Kp, Ki, Kd, DIRECT); void setup() { sensors.begin(); pinMode(HEATER_PIN, OUTPUT); myPID.SetMode(AUTOMATIC); myPID.SetOutputLimits(0, 255); // PWM 범위 설정 } void loop() { sensors.requestTemperatures(); Input = sensors.getTempCByIndex(0); myPID.Compute(); analogWrite(HEATER_PIN, (int)Output); // PWM 제어 delay(5000); // 충분히 긴 제어 주기 }

4. PID 제어 시 참고 자료

책 제목설명
PID Without a PhD – Tim Wescott초보자용 실무 PID 제어 입문서
Control System Design – Karl J. ÅströmPID 이론과 실제 적용 사례
Embedded PID Control – Qing-Chang ZhongMCU 기반 PID 제어 심화

5. 마무리

요약한줄 정리
PTC 히터 PID 제어 가능?네, 가능하지만 튜닝에 신경 써야 합니다
제어 방식PWM + MOSFET 또는 PWM 가능 SSR 필요
주의사항PID 주기를 충분히 길게 설정, 특성 비선형 고려
기대 효과온도 안정성 증가, 과도한 오버슈트 방지

PTC 히터를 PID 제어하면 더욱 스마트한 온실 온도 관리가 가능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전력(kW) 계산하기 (직류, 교류 단상, 교류 삼상)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제너 다이오드에 저항을 연결하는 이유

[주식] 한국거래소(KRX) 데이터 API 입문 가이드

[스마트팜] EC/pH 미터 만들기: 아두이노로 전기 전도도 및 pH 측정

[알고리즘 트레이딩] 연 환산 수익률(Annualized Return) 계산 방법 3가지

NPN, PNP 트랜지스터 차이점

[PLC] 래더 다이어그램과 PL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