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초] 쿨롱(Coulomb)과 전류의 개념

전기를 공부하다가 쿨롱이란 개념이 갑자기 툭하고 나타나는 느낌이라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좀 더 이해하기 쉬운 글이 있어 정리해 둡니다.

전자(electrons)들의 흐름을 전류라고 합니다. 6.24×1018개의 전자가 1초 동안에 한 지점을 통과할 때 1A(암페어) 전류가 흘렀다고 정의합니다. 1A의 전류가 흐를 때의 전자의 개수 6.24×1018를 1 C(쿨롱)라 하고 이는 전하의 양을 표현하는 단위가 됩니다.

1 C(쿨롱) = 6.24×1018 electrons
1 C(쿨롱) = 1초당 1 A
전하량 (쿨롱) Q=I×t coulombs

예를 들어 2.5초 동안 7.1쿨롱의 전자가 흘렀다면 전류는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I=Qt=7.12.5=2.84A

1쿨롱은 1초당 1A이므로 2.84A의 전류는 1초당 2.84×6.24×1018의 전자가 흘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끝.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제너 다이오드에 저항을 연결하는 이유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전력(kW) 계산하기 (직류, 교류 단상, 교류 삼상)

3선 결선식 센서의 타입 PNP, NPN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전기 기초] 저항의 정격전력(Watt) 표기의 의미

커패시터에 저장된 에너지 계산

NPN, PNP 트랜지스터 차이점

PLC 출력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