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 스톤울을 활용한 삽수 가이드
🌱 스톤울에서 삽수 발근시키기 가이드
삽수를 이용한 번식은 식물을 빠르게 복제하고, 유전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훌륭한 방법입니다. 특히 **스톤울(rockwool)**은 수분 보유력이 뛰어나고 무균적이며, 수경재배에 적합한 매체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스톤울을 이용해 삽수를 발근시키는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고, 마지막에 삽수가 가능한 식용작물 리스트도 소개하겠습니다.
🧪 준비물
-
스톤울 큐브
-
반농도 영양액
-
발근 호르몬
-
날카로운 전정 가위
-
고무장갑
-
습도 돔
-
트레이
-
저강도 조명
-
히트 매트 (선택사항)
🌿 삽수 발근 단계
1. 스톤울 준비
스톤울은 반농도의 영양액에 적셔 준비합니다. 이 영양액은 뿌리가 없는 삽수에게도 필요한 최소한의 영양분을 제공합니다. 준비된 스톤울은 바닥이 단단한 트레이에 올려주세요.
2. 삽수 채취
날카로운 가위를 사용해 건강한 모체 식물에서 삽수를 채취합니다. 이때 잎 마디 아래쪽을 45도 각도로 자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적인 길이는 약 10~18cm입니다.
3. 발근 호르몬 처리
위생을 위해 발근제를 직접 사용하지 말고 별도의 소량 용기에 덜어 사용합니다. 삽수의 끝부분을 발근제에 담갔다가, 과도한 액체는 떨어지게 한 뒤 스톤울 큐브에 삽입합니다.
4. 큐브에 삽수 삽입
-
기본 방식: 미리 뚫린 구멍에 2.5cm 정도 깊이로 삽입
-
얇은 줄기의 경우: 더 작은 구멍을 새로 만들어 단단하게 고정
-
큐브 바닥 삽입 방식: 큐브를 뒤집어서 큐브 하단에서 삽수 삽입 — 고정성과 수분 접촉 면적이 좋음
5. 환경 설정
삽수 간 잎이 서로 닿지 않게 하여 과도한 습기로 인한 곰팡이 발생을 방지합니다. 트레이 위에 습도 돔을 씌우고 저강도 조명 아래에 배치합니다. 너무 밝으면 삽수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광량 조절이 중요합니다.
6. 습도와 온도 관리
-
건조 증상 시: 잎 더 제거, 광량 감소, 트레이 바닥에 소량의 물 추가, 환기구 조절
-
히트 매트 사용 시: 온도는 21~27°C 가 적정
-
물이 큐브를 잠기게 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7. 점진적 순화
삽수가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면, 돔의 환기구를 조금씩 열어 주변 습도에 점진적으로 적응시킵니다.
8. 이식 시점
보통 1~3주가 지나면 큐브 외부로 뿌리가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이때 수경 재배 시스템으로 이식이 가능합니다.
🥬 삽수가 가능한 식용작물 리스트
아래 작물들은 대부분 삽수로 쉽게 번식이 가능하며, 스톤울을 활용한 수경 재배에 잘 적응합니다:
작물명 | 특징 |
---|---|
바질 (Basil) | 발근 속도 빠름, 허브류 대표주자 |
민트 (Mint) | 거의 모든 삽수가 성공할 만큼 강인함 |
고수 (Cilantro) | 발근 가능하나 환경에 민감 |
로즈마리 (Rosemary) | 발근은 느리나 안정적으로 성장 |
오레가노 (Oregano) | 작고 향이 강한 허브, 발근도 잘됨 |
타임 (Thyme) | 작은 가지도 발근 가능 |
케일 (Kale) | 어린 잎줄기로 삽수 가능 |
시금치 (Spinach) | 어린잎 단계에서는 성공률 낮음 |
고추 (Chili Pepper) | 약간의 숙련이 필요하지만 가능함 |
토마토 (Tomato) | 발근 속도 빠르며 성장도 빠름 |
🌟 마무리 팁
-
처음에는 바질이나 민트처럼 발근이 쉬운 허브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매일 큐브의 수분 상태와 잎 상태를 관찰하세요.
-
위생 관리가 매우 중요하므로 장갑 착용과 도구 소독은 필수입니다.
🌱 삽수는 무한히 반복 가능?
✅ 이론상 가능한 이유
-
삽수 번식은 유전자 복제
삽수는 모체 식물의 줄기나 잎 일부를 잘라내어 새로운 개체로 키우는 방식으로, 모체와 완전히 동일한 유전자를 지닌 클론이 됩니다.
→ 즉, 자란 삽수도 다시 새로운 삽수의 모체가 될 수 있음. -
줄기 조직은 무한한 분열 가능성 보유
식물의 줄기에는 분열조직(meristem)이 있으며, 적절한 영양, 수분, 온도, 습도만 제공되면 지속적인 분열과 성장 가능. -
작물에 따라 생애주기 반복 가능
다년생 식물(예: 로즈마리, 민트 등)은 삽수로 계속 증식시켜도 기능적으로 문제 없음.
⚠️ 실제 제한 조건
항목 | 설명 |
---|---|
노화 누적 | 클론도 세포 노화는 피할 수 없습니다. 수세(樹勢, 식물의 활력)가 점점 약해질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병원균 축적 | 모체 식물이 병원균에 감염된 경우, 복제된 식물도 그 병을 그대로 가질 수 있음. 반복될수록 질병 축적 위험 증가. |
생장력 저하 | 몇 세대 이상 반복 삽수를 하면 어떤 개체는 생장이 약해지거나 뿌리 발달이 느려지는 경우가 있음. |
유전적 다양성 부족 | 클론은 유전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환경 변화에 대해 전체가 동시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 (예: 병충해 전체 피해). |
💡 실전 팁
-
어느 시점엔 새로 씨앗부터 키워서 모체 갱신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모체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삽수 성공률과 수명 유지의 핵심입니다.
-
병 없는 깨끗한 환경, 주기적 영양 관리, 건강한 조직 선택은 삽수 무한 순환의 열쇠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