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수경재배 트러블슈팅 : 팁번, 황변, 해충방제
수경재배 문제 진단 가이드: 시스템 닥터가 되어보자
이제 당신은 시스템 제작자, 실내 정원사, 그리고 유지보수 전문가가 되는 법을 배웠습니다.
이제는 한 단계 더 나아가 ‘닥터’가 되어 수경재배 시스템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법을 배워야 할 때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영양소 결핍 (NUTRIENT DEFICIENCIES)
전통적인 영양소 결핍/과잉 가이드는 증상을 보이는 하나의 잎사귀만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정작 문제를 과도하게 수정하거나 엉뚱한 방향으로 수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영양소 문제는 단순한 부족보다는 다음과 같은 요인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
pH 불균형
-
환경 조건
-
작물의 생장 단계
-
병원균 존재
👉 영양소 문제로 단정 짓기 전에 반드시 다음을 점검하세요:
-
동일 품종의 모든 식물이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가?
-
pH가 작물에 맞는 목표 범위(5.0 ~ 6.5 사이)에 있는가?
-
EC(전기전도도)가 적정 범위에 있는가?
-
공기 온도와 수온이 적정 범위에 있는가? (수온은 55°F~85°F 사이)
-
모든 작물에 공기가 고르게 순환되는가? (잎이 움직이는 것이 보일 정도)
-
해충이 없는가?
-
조도가 충분한가?
-
수경재배 전용 비료를 사용했는가?
➡️ 위의 조건이 모두 충족되었다면, 그때 비로소 문제를 영양소 관련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양액을 교체하고 시스템을 리셋하는 것만으로도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황화(Chlorosis)와 괴사(Necrosis)
-
황화(Chlorosis): 잎의 녹색을 담당하는 클로로필의 손실을 말합니다.
영양소 결핍이나 해충 피해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괴사(Necrosis): 식물 조직의 죽음을 의미하며, 보통 황화 이후 나타납니다.
🔹 새 잎에서 엽맥 사이가 노랗게 변함 (Interveinal Chlorosis on New Growth)
-
원인: 철(Fe) 또는 다른 미량원소 결핍
-
대부분의 수경재배 비료는 철을 충분히 공급하기 때문에, **문제는 철의 '존재'가 아니라 '흡수 불량'**입니다.
-
흡수 불량의 주된 원인은 pH가 너무 높아서입니다.
-
예: 바질은 철 흡수가 어려운 작물로, pH가 6 이상이면 철 결핍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
대책: pH를 낮추고 필요한 경우 철을 보충하면, 기존 잎은 회복되지 않지만 이후 새잎은 정상적으로 자랍니다.
🔹 오래된 잎에서 황화 증상 (Chlorosis on Older Leaves)
-
질소 결핍(Nitrogen deficiency)
-
질소는 클로로필의 핵심 성분으로, 결핍 시 식물은 오래된 잎에서 질소를 추출해 새잎에 공급합니다.
-
저 EC 환경이나 초기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
-
자연적인 노화(Senescence)
-
오래된 잎이 수명이 다해 자연스럽게 죽는 현상입니다.
-
어린 식물은 멀쩡한데, 늙은 식물의 하엽만 노랗다면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
-
마그네슘 결핍(Magnesium deficiency)
-
증상: 오래된 잎의 엽맥 사이가 노랗고, 가장자리나 점 형태로 괴사가 나타납니다.
-
해결: 엡섬 솔트(황산마그네슘)를 물 1갤런당 ½~1 티스푼 섞어 사용하면 개선됩니다.
-
3. 팁번(Tip Burn) 현상
팁번은 기술적으로는 칼슘 결핍 증상입니다.
하지만 흥미로운 점은, 양액에 칼슘이 충분해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왜 팁번이 생길까?
-
칼슘은 세포벽 형성에 필수적인데,
-
식물이 빠르게 자라거나, 조도가 높고 기온이 따뜻한 조건에서는 칼슘 흡수 속도가 세포 생성 속도를 따라가지 못할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
다른 품종 사용
-
어떤 품종은 팁번에 민감하고, 어떤 품종은 같은 환경에서도 잘 자랍니다.
-
-
공기 흐름 증가
-
증산을 증가시켜 칼슘 이동을 돕습니다. 선풍기 등을 이용하세요.
-
-
질소 비료 줄이기
-
성장을 약간 늦추면 팁번을 줄일 수 있습니다.
-
-
광량 감소
-
조도를 줄이거나, LED 등을 멀리 배치해 식물 성장을 느리게 합니다.
-
-
칼슘 증가
-
때로는 칼슘 보충이 도움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수경 비료는 이미 충분한 칼슘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식물 재배 시 주의해야 할 해충 및 조절 방법
식물 재배 환경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해충과 이들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은 가정용 식물 재배기나 수경재배 시스템을 사용하는 분들에게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1. 조류(Algae)
조류의 문제점: 조류는 보통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영양분을 일부 흡수해 다른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이유: 조류는 곰팡이파리(fungus gnats)나 쇼어플라이(shore flies)의 먹이가 되므로, 이 해충들을 유인하게 됩니다.
예방 방법:
양액이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합니다.
모종 표면에 조류가 생긴 경우 과습(overwatering)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2. 곰팡이파리(Fungus Gnats) 및 쇼어플라이(Shore Flies)
곰팡이파리의 위험성:
성충은 큰 해를 끼치지 않지만, 유충이 뿌리를 갉아 식물을 병원균(피튬, 푸사리움 등)에 취약하게 만듭니다.
쇼어플라이의 특성:
외형은 곰팡이파리와 유사하나, 유충은 뿌리를 먹지 않아 피해는 적습니다. 하지만 귀찮은 존재입니다.
구별법:
곰팡이파리는 모기처럼 길쭉하고 다리가 깁니다.
쇼어플라이는 초파리와 더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방제 방법:
조류 및 부패한 식물 제거
유익한 선충(Steinernema feltiae) 도입
Bti균(Bacillus thuringiensis israelensis)이 포함된 제품 사용
Azadirachtin 또는 Pyrethrin 성분의 유기농 살충제 사용
3. 진딧물(Aphids)
피해 양상:
식물 성장을 뒤틀리게 하거나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습니다.
잎에 달라붙는 끈적한 분비물(honeydew)이 특징이며, 이는 개미나 곰팡이를 유인할 수 있습니다.
방제 방법:
살충 비누 사용
Azadirachtin 또는 Pyrethrin 성분의 유기농 제품 활용
4. 총채벌레(Thrips)
특징:
단수형과 복수형 모두 'thrips'로 표기됩니다.
피해 증상:
잎에 반점, 꽃의 이상 성장, 새 잎의 왜곡
예방 및 방제:
총채벌레에 덜 매력적인 작물 또는 품종 선택
생물학적 방제: 초록레이스윙, 포식성 진드기, 기생 말벌, 해적벌 등
Spinosad 성분 포함 유기농 살충제
Azadirachtin, Pyrethrin, 살충 비누 등
5. 거미 진드기(Spider Mites)
대표 종: 두 점 거미 진드기(Two-spotted spider mite)
문제 작물: 토마토, 가지, 오이, 딸기 등
피해 양상:
잎 표면의 흐릿한 반점 → 엽록소 손실 및 낙엽 유도
심할 경우 잎에 거미줄 형성
발생 조건:
건조한 날씨와 과도한 시비 환경에서 잘 번식함
방제 방법:
포식성 진드기 (Phytoseiulus persimilis, Amblyseius fallacis) 사용
살충 비누 또는 Neem oil 사용
살충제를 사용할 경우, 5~7일 간격으로 2회 분사 필요 (알에는 효과가 낮기 때문)
이상으로 주요 해충과 그에 대한 예방 및 방제법을 살펴보았습니다. 해충은 조기 대응이 핵심입니다. 재배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자연친화적인 방제 방법을 적극 활용하여 건강한 식물 재배를 지속해 나가시기 바랍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