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저비용 역류 방지를 위한 릴레이 + 전압 감지 회로 구현과 테스트 방법

 

🔌 저비용 역류 방지를 위한 릴레이 + 전압 감지 회로 구현과 테스트 방법

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예: 태양광 + 풍력)을 구성할 때, 역전류(Backflow Current) 방지는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두 개 이상의 컨트롤러가 동일한 배터리 뱅크에 병렬 연결될 경우, 전압 차이에 의해 한쪽 컨트롤러로 역전류가 흘러 손상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저비용으로 구현 가능한 "릴레이 + 전압 감지 회로" 기반의 역류 방지 장치안전한 테스트 방법까지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 릴레이 + 전압 감지 회로란?

역류를 방지하는 가장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는:

  • 특정 전압 이상일 때만 회로를 닫아 전력을 배터리로 전달하고

  • 전압이 낮아져 역류 가능성이 있을 땐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로:

릴레이: 전기적 스위치를 자동으로 여닫음
전압 감지 회로: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릴레이를 제어


🧩 회로 구성 요소

구성 요소설명
전압 감지 회로기준 전압 이상인지 확인 (예: OPAMP 비교기, TL431, LM393 등)
릴레이기준 전압 이상일 때 닫혀서 배터리 충전 회로 연결
트랜지스터릴레이 구동용 (예: 2N2222, BC337, IRFZ44 등 NPN or N채널)
전압 기준 설정가변 저항(VR), 제너 다이오드, 또는 기준 전압 소자 사용
역류 방지 다이오드회로 보호용 보조 장치 (선택사항)
 

💡 기본 원리: 입력 전압이 기준치 이상이면 릴레이 ON → 충전 허용. 기준 미만이면 릴레이 OFF → 역류 차단.


🔌 기본 회로 흐름 예시

+ 발전기(컨트롤러) + │ 전압 감지 회로 ─── 릴레이 ─── 배터리 + │ 배터리 - │ GND

🧪 역전류 상황 테스트 방법

자작 회로를 만들었다면, 실제로 역전류 상황에서 릴레이가 잘 차단되는지 테스트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두 개의 파워서플라이를 활용한 안전한 테스트 방법입니다.

🎛️ 테스트 준비물

항목용도
DC 파워서플라이 ×2하나는 "발전기" 역할, 하나는 "배터리" 역할
전자 부하 or 고와트 저항실제 전력 흐름 확인용
멀티미터전압·전류 모니터링용
회로 보호용 퓨즈안전 확보

🔧 테스트 절차

  1. 파워서플라이 A (발전기 역할): 12.0V로 설정

  2. 파워서플라이 B (배터리 역할): 13.0V로 설정

  3. 배터리 역할 전원(B)의 +단자를 릴레이 출력 쪽에, -단자는 GND에 연결

  4. 전압 감지 회로를 파워서플라이 A로부터 공급

  5. 릴레이가 꺼져 있는지 확인 → 역류 방지 상태 정상

  6. 파워서플라이 A의 전압을 13.5V 이상으로 올려봄

  7. 릴레이가 닫히고 충전이 시작되면 → 감지 회로 정상 작동 확인

⚠️ 역전류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이므로 항상 보호 회로와 저항 부하를 삽입하세요!


💬 마무리 정리

  • 릴레이 + 전압 감지 회로는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인 역류 방지 수단

  • 컨트롤러 간 전압 차이에 의한 역전류로 인한 고장 방지에 유용

  • 저렴한 부품으로 구성 가능하며, 자작 회로 테스트도 충분히 가능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전력(kW) 계산하기 (직류, 교류 단상, 교류 삼상)

[주식] 한국거래소(KRX) 데이터 API 입문 가이드

3선 결선식 센서의 타입 PNP, NPN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제너 다이오드에 저항을 연결하는 이유

[스마트팜] EC/pH 미터 만들기: 아두이노로 전기 전도도 및 pH 측정

[투자]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H) 매수 타이밍은?

[PLC] 래더 다이어그램과 PL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