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 스톤울을 활용한 채소 모종 발아부터 관리까지

 

스톤울을 활용한 채소 모종 발아부터 관리까지, 쉽게 따라하는 재배 가이드 🌱

요즘 집에서 수경재배나 실내 텃밭을 시작하시는 분들이 많아졌죠. 그중에서도 **스톤울(seedling stone wool)**은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발아용 재배 매체로 인기입니다. 오늘은 스톤울을 이용해 바질, 상추, 토마토 등 다양한 채소 모종을 발아시키고 관리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드릴게요!


1단계. 스톤울 준비하기

  • 스톤울 시트10×20인치 메쉬 바닥 트레이에 올려주세요.

  • 반 농도의 영양액(희석된 수경재배 영양제)을 사용해 스톤울을 충분히 적십니다.

  • 트레이 바닥을 통해 과잉 영양액이 빠져나가도록 자연스럽게 배수시켜 주세요.

💡 Tip: 스톤울은 축축하지만 물에 잠기지 않는 상태가 이상적이에요.


2단계. 트레이 구성 및 배치

  • 스톤울이 담긴 메쉬 트레이를 고체 바닥 트레이 위에 올려주세요.

  • 이 바닥 트레이는 배수된 영양액이 넘치지 않게 도와줍니다.

  • 트레이 전체를 모종 히트매트(Seedling Heat Mat) 위에 올려 따뜻하게 유지하세요.


3단계. 씨앗 심기 (Seeding)

  • 펠렛형 씨앗은 플러그 한 칸에 1개씩 심어주세요.

  • 바질은 플러그당 3~8개 심으면 더 많은 수확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상추 믹스(비펠렛 생씨앗)**는 3~5개가 적당해요.

  • 토마토, 고추, 오이, 가지 같은 작물은 플러그당 2개 심고, 나중에 더 작은 싹을 제거하면 발아 실패 대비가 됩니다.

✂️ 작은 싹은 손으로 조심스럽게 뽑아내거나 핀셋으로 제거하세요.


4단계. 품종 라벨링하기

  • 씨앗을 심었으면 플러그마다 품종 이름을 기록해주세요.

  • 식물 마커, 스티커, 혹은 메모지 등으로 구분해두면 나중에 헷갈리지 않아요.


5단계. 씨앗 물주기 및 가습 관리

  • 씨앗에 미스트 분사기나 분무기로 물을 살짝 뿌려주세요.

  • 특히 펠렛형 씨앗은 흡수력이 낮아 초기 수분 공급이 중요합니다.

  • 히트매트 컨트롤러를 설정하고, 온도 센서는 돔의 환기구를 통해 스톤울 안으로 넣어주세요.

  • 습도 돔을 덮어 씨앗 주변 습도를 유지하세요.


6단계. 온도 설정 및 발아 관찰

  • 히트매트 온도는 작물별 최적 발아 온도로 설정하세요.
    (예: 바질 2327°C, 상추 2024°C 등. 자세한 온도는 작물별 발아 차트 참고)

  • 처음 3~5일간은 트레이를 그대로 유지해 주세요. 이미 스톤울에 충분한 수분이 있기 때문이에요.


7단계. 발아 후 관리

  • 전체 씨앗 중 50% 이상이 발아하면, 습도 돔을 제거하세요.

  • 너무 오래 돔을 덮으면 곰팡이나 병해가 생길 수 있어요.


8단계. 물주기 시점 파악하기

  • 스톤울은 젖었을 때 무겁고, 말랐을 땐 가볍습니다.

  • 트레이를 살짝 들어보며 무게를 느껴보세요.

  • 실내 환경에 따라 2~4일에 한 번 정도 영양액으로 물을 주면 됩니다.

  • 일부 작물은 1~2주 안에 이식되므로, 별도로 물을 주지 않아도 되는 경우도 있어요.


마무리

스톤울을 이용하면 비교적 간편하고 위생적인 방식으로 모종을 키울 수 있어요. 위의 순서를 잘 따라 하면, 초보자도 멋진 수경재배 채소를 수확할 수 있답니다!

🌿 다음 글에서는 "발아 후 수경 재배 시스템으로 옮기는 방법"을 소개할 예정이에요.

💬 질문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전력(kW) 계산하기 (직류, 교류 단상, 교류 삼상)

[주식] 한국거래소(KRX) 데이터 API 입문 가이드

3선 결선식 센서의 타입 PNP, NPN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제너 다이오드에 저항을 연결하는 이유

[스마트팜] EC/pH 미터 만들기: 아두이노로 전기 전도도 및 pH 측정

[투자]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H) 매수 타이밍은?

[PLC] 래더 다이어그램과 PL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