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 작동 원리에 따른 온실의 분류
온실(Greenhouse)의 분류: 작동 원리에 따른 체계적 정리
기후 변화와 식량 안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효율적인 온실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온실은 그 작동 방식에 따라 수동형(Passive)과 능동형(Active)으로 나뉘며, 각 방식은 다시 난방(Heating)과 냉방(Cooling) 기술로 세분화됩니다. 이 글에서는 온실을 작동 원리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1. 수동형 온실 (Passive Greenhouse)
수동형 온실은 외부 에너지원 없이 자연적인 요소나 구조적 특징을 활용해 내부 환경을 조절합니다.
Rock-bed Storage (암반 저장층): 돌을 사용해 태양열을 저장하고 밤에 방출합니다.
North Wall (북쪽 벽체 단열):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해 북쪽 벽을 단열 구조로 설계합니다.
Munching (멀칭): 토양 위를 덮어 온도 유지 및 수분 증발 억제를 돕습니다.
Face Changing Material (상변화 물질): 고체-액체 상태 변화를 활용해 열을 저장합니다.
Movable Insulation (이동식 단열재): 야간에는 단열, 주간에는 햇빛 투과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능동형 온실은 외부 에너지원(전기, 연료 등)을 사용하여 온실 내부의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합니다.
● 난방 기술 (Heating)
Water Storage (물 저장): 열을 저장하는 수단으로 물을 사용하여 온실 내부 온도를 유지합니다.Rock-bed Storage (암반 저장층): 돌을 사용해 태양열을 저장하고 밤에 방출합니다.
North Wall (북쪽 벽체 단열):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해 북쪽 벽을 단열 구조로 설계합니다.
Munching (멀칭): 토양 위를 덮어 온도 유지 및 수분 증발 억제를 돕습니다.
Face Changing Material (상변화 물질): 고체-액체 상태 변화를 활용해 열을 저장합니다.
Movable Insulation (이동식 단열재): 야간에는 단열, 주간에는 햇빛 투과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 냉방 기술 (Cooling)
Natural Ventilation (자연 환기): 창문이나 개폐 구조를 통해 자연스럽게 내부 공기를 순환시킵니다.
Shading (차광): 차광막 등을 사용해 과도한 일사를 차단합니다.
2. 능동형 온실 (Active Greenhouse)
능동형 온실은 외부 에너지원(전기, 연료 등)을 사용하여 온실 내부의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합니다.
● 난방 기술 (Heating)
Warm Water (온수난방): 온수를 순환시켜 내부 공기를 데웁니다.
Soil Storage with Buried Pipes (지중 배관 시스템): 땅속 배관에 저장된 열로 온도를 조절합니다.
Rock Piles (암석 더미): 큰 돌덩이를 이용해 열을 저장하고 재방출합니다.
● 냉방 기술 (Cooling)
Forced Ventilation (강제 환기): 팬이나 송풍기를 사용하여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킵니다.
Evaporative Cooling (증발 냉각): 물의 증발을 이용해 온도를 낮추는 방식입니다.
Earth Air Tunnel (지중 공기 터널): 땅속에 설치된 파이프를 통해 외기를 순환시켜 냉각합니다.
Misting (미스트 분사):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하여 공기 중 온도를 낮춥니다.
마무리
작동 원리에 따른 온실의 분류는 설계 및 운영 전략을 수립하는 데 핵심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에너지를 절약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온실 유형과 기술적 특성을 이해하고, 지역 기후 및 재배 작물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