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난방 손실을 줄이는 열회수 환기 시스템 도입하기

 

스마트팜 냉난방 손실을 줄이는 열회수 환기 시스템 도입하기

– HRV/ERV 시스템으로 사계절 에너지 절약형 스마트팜 구현 –


스마트팜은 실내 온·습도를 정밀하게 제어해 작물이 최적의 환경에서 자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하지만 환기는 꼭 필요하죠.
CO₂ 농도 조절, 병해충 방지, 결로 방지 등을 위해 외부 공기를 들여오고 내부 공기를 내보내야 합니다.

그런데 이때 문제가 생깁니다.

"냉난방으로 만든 온도를 환기할 때 다 날려버린다면?"

이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이 바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HRV/ERV)**입니다.


1.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란?

**HRV (Heat Recovery Ventilator)**와 **ERV (Energy Recovery Ventilator)**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면서 동시에 실내 공기를 배출할 때,
두 공기의 열(그리고 경우에 따라 습기)만 열교환기를 통해 교환시켜
온도 변화 없이 공기만 바꾸는 환기 장치입니다.


2. 어떻게 작동하나요?

  1. 더운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를 지나며 열을 남기고 배출됩니다.

  2. 외부의 찬 공기가 들어올 때, 그 열을 받아 미리 데워져 들어옵니다.

  3. 반대로 여름에는 냉방된 실내 공기가 빠져나가며 외부 더운 공기와 열을 교환 → 냉기 손실 최소화


3. HRV vs ERV: 어떤 걸 써야 할까?

항목HRV (Heat Recovery)ERV (Energy Recovery)
회수 대상열 (온도)만열 + 습기 (온도 + 습도)
적용 환경겨울철 환기 위주여름철 제습이 중요한 환경
스마트팜 활용일반 작물, 단순 냉난방 보존고습 작물 (상추, 허브, 쌈채소 등) 또는 간절기에도 제습이 필요한 환경

📌 스마트팜에서는 ERV를 권장합니다.
여름철 고습기에도 습기 회수/배출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4. 왜 스마트팜에 꼭 필요할까?

✅ 냉난방 에너지 절약

  • 환기하면서도 온도는 그대로 유지 → 전기료 절감

  • 전기온수보일러 + 이동식 에어컨과 궁합 ↑

✅ 안정적인 작물 생육

  • 급격한 온도 변화 없이 신선한 공기 공급 가능

  • 과습/건조/결로 문제 완화

✅ CO₂ 농도 조절

  • 밀폐된 온실에서도 외기 유입 + 내기 배출로 광합성 환경 유지


5. 설치 시 주의사항

  • 열교환 효율은 보통 60~85%, 고급형은 90% 이상

  • 반드시 벌레망, 미세먼지 필터 포함된 모델 사용

  • 환기량은 내부 공간 체적에 맞춰 적절히 계산

  • 전력 소비는 낮은 편으로, 태양광 전기로 구동도 가능

  • 배관 설계 시 온기/냉기 쇼크 방지 구조(이중 유입, 풍속 완충 등) 고려


6. 자동 제어 연동 예시

센서 종류제어 로직
CO₂ 센서농도 1,000ppm 이상 → 환기팬 ON
온도 센서외기 온도 대비 실내 온도 차 > 5℃ → HRV 작동
습도 센서실내 습도 > 80% → ERV 강제환기 모드

👉 ESP32, PLC, 릴레이 보드 등으로 자동화 가능
👉 휴대폰 앱 또는 원격 IoT 대시보드에서 상태 확인 가능


7. 마무리

환기는 스마트팜의 필수 요소이지만,
냉난방한 공기를 그냥 버린다면 전기세가 두 배로 올라갑니다.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HRV/ERV)을 도입하면
에너지 손실 없이 환기할 수 있어
전기요금은 줄고, 작물 생장은 안정적이며, 환경도 쾌적해집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사각형의 넓이 공식의 증명

3선 결선식 센서의 타입 PNP, NPN

[PLC] 릴레이와 전자 접촉기 (MC)

[PLC] MELSEC-Q 시리즈 CPU RS-232C 6핀 커넥터 핀맵

NPN, PNP 트랜지스터 차이점

[주식] 한국거래소(KRX) 데이터 API 입문 가이드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농사] 천연 식물성 살충제 종류 및 제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