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고전 통계에서 벗어나기: 하나의 표본으로 유사 표본을 만드는 법
🎯 고전 통계에서 벗어나기: 하나의 표본으로 유사 표본을 만드는 법
통계학을 공부하다 보면 어느 순간 의문이 생깁니다.
“이 하나의 표본으로 정말 뭔가를 일반화해도 되는 걸까?”
이 질문에 대해 고전 통계학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표본이 충분히 크면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자!”
하지만, 현실의 데이터는 그렇게 얌전하지 않습니다.
**왜도(skewed)**하고, **이상치(outlier)**도 있고, 정규분포? 그런 거 없음.
그래서 등판한 것이 바로 **컴퓨터 집약적 접근법(computer-intensive approach)**입니다.
📘 고전적 방법: 이론에 기대다
전통적인 통계 접근법은 이렇게 진행됩니다:
-
표본 하나를 얻는다.
-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른다”라고 가정한다.
-
정규분포의 특성을 바탕으로 표본 평균의 분포(=표본분포)를 계산한다.
-
신뢰구간, p값 등을 도출한다.
🧠 단점:
-
정규분포라는 이론적 가정에 의존.
-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으면 결과가 왜곡될 수 있음.
💻 컴퓨터 기반 방법: 데이터 그 자체를 실험하다
컴퓨터 집약적 접근법은 데이터를 직접 다룹니다.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 **부트스트랩(bootstrap)**입니다.
🔁 어떻게 작동하나?
-
표본 하나가 있다:
예)[3, 5, 7, 9, 10]
-
이 표본에서 복원 추출로 가짜 표본을 만든다:
예)[5, 3, 3, 9, 10]
-
평균을 구한다.
-
이 과정을 수천 번 반복한다.
-
생성된 평균값들의 분포를 보면 표본 평균의 표본분포가 근사됨!
🚀 장점:
-
정규분포 가정이 필요 없다.
-
현실적이며 데이터의 특성을 잘 반영한다.
-
비정규, 왜도, 이상치 데이터도 대응 가능.
🎲 Monte Carlo 방식은?
또 다른 방식인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은
마치 컴퓨터를 룰렛휠처럼 무작위 추출기로 활용합니다.
“이 룰(예: 트레이딩 전략)의 수익률이 단순한 우연이 아닐까?”
→ 수천 번의 무작위 시뮬레이션으로 검정
⚖️ 비교 정리
항목 | 고전적 접근법 | 컴퓨터 기반 접근법 |
---|---|---|
기반 | 정규분포 가정 | 실제 표본에서 복원추출 |
장점 | 계산 간단, 이론 기반 | 유연하고 정규성 불필요 |
단점 | 정규성 위반 시 부정확 | 계산량 많음, 컴퓨터 필요 |
대표 기술 | Z-test, t-test | 부트스트랩, 몬테카를로 |
📌 핵심 요약
-
하나의 표본만 있어도, 컴퓨터를 활용하면 가짜 표본을 수천 개 생성할 수 있다.
-
이를 통해 표본 평균의 분포를 근사적으로 얻고,
신뢰구간, 표준오차, 유의성 검정이 가능해진다. -
고전적 통계는 편리하지만 제한적이고,
컴퓨터 기반 방식은 현실 데이터를 더 잘 반영한다.
🧪 실전 적용은?
금융, 의료, 마케팅 데이터 분석에서는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는 부트스트랩이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더 정밀하고 견고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