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수열과 급수, 그리고 무한급수의 합이 의미하는 것

 

📌 수열과 급수, 그리고 무한급수의 합이 의미하는 것

수학을 공부하다 보면 **수열(sequence)**과 **급수(series)**라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겉보기에는 비슷하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개념을 다루고 있습니다. 게다가 물리나 자연현상 속에서도 자주 등장하기 때문에, 차이를 이해하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1. 수열: 숫자의 나열

수열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나열된 숫자입니다.

예를 들어,

1,12,13,14,1, \tfrac{1}{2}, \tfrac{1}{3}, \tfrac{1}{4}, \dots

이렇게 이어지는 것이 하나의 수열입니다.

👉 수열에서 중요한 질문은 **“이 항들이 어디로 가까워지는가?”**입니다.
위 수열은 점점 작아져 결국 0에 다가갑니다.


2. 급수: 수열을 더한 것

급수는 수열의 항들을 차례대로 더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위 수열을 더하면:

1+12+13+14+1 + \tfrac{1}{2} + \tfrac{1}{3} + \tfrac{1}{4} + \cdots

이것이 바로 급수입니다.

👉 급수에서 중요한 질문은 **“이 무한한 덧셈이 특정한 값으로 모일 수 있는가?”**입니다.


3. 발산급수 vs 수렴급수

책에 나온 예시로 살펴보면 더 직관적입니다.

  • (1.1a) 세균 예시
    세균이 매 시간마다 두 배씩 늘어난다고 하면:

    1+2+4+8+1 + 2 + 4 + 8 + \cdots

    값이 끝없이 커집니다. → 발산급수, 합이 정의되지 않음

  • (1.1b) 공 튀기기 예시
    공이 처음 1m 높이에서 떨어지고, 매번 튀어 오를 때마다 높이가 23\tfrac{2}{3}로 줄어든다고 하면, 공이 움직인 거리는:

    1+23+23+49+49+1 + \tfrac{2}{3} + \tfrac{2}{3} + \tfrac{4}{9} + \tfrac{4}{9} + \cdots

    점점 줄어들며 특정 값으로 수렴합니다. → 수렴급수, 합이 존재

👉 중요한 점: “합이 있다”는 것이 실제로 끝까지 다 더했다는 뜻은 아니다

  • 무한히 더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우리는 부분합

    SN=a1+a2++aNS_N = a_1 + a_2 + \dots + a_N

    을 만든 뒤, NN \to \infty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는지를 따집니다.

  • 즉, 수렴급수의 합 = 부분합의 극한

  • 따라서 수렴급수는 합의 문제라기보다 극한의 영역이라는 말이 정확합니다.


4. 비유로 이해하기

  • 수열 = “계단 하나하나” → 개별 항목

  • 급수 = “계단을 끝까지 다 올랐을 때의 총 높이” → 누적 합계

즉, 수열은 과정의 나열, 급수는 그 과정을 **합쳐서 얻은 결과(극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5. 정리

  • 수열(sequence): 규칙에 따라 나열된 수

  • 급수(series): 수열을 더한 것

  • 수렴급수의 합 = 실제 덧셈이 아니라, 부분합의 극한

  • 발산급수는 합이 없고, 수렴급수만이 극한값으로 정의된 합을 갖습니다

  • 물리나 공학에서 무한급수를 다룰 때, 합의 의미를 바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결론:
수열은 “흐름”, 급수는 “그 흐름을 합친 전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이 개념을 잡으면 자연현상 속 무한과 극한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3선 결선식 센서의 타입 PNP, NPN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전력(kW) 계산하기 (직류, 교류 단상, 교류 삼상)

[스마트팜] 저비용 센서 기반 태양광 패널 태양 추적 시스템 아이디어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스마트팜] EC/pH 미터 만들기: 아두이노로 전기 전도도 및 pH 측정

사각형의 넓이 공식의 증명

NPN, PNP 트랜지스터 차이점

[PLC] PLC 입출력 타입 - 싱크 & 소스 (Sink &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