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왜 ‘기하급수’라고 부를까? (한국에서 수학은 영어로 배워야 하는 이유)

 

📚 왜 ‘기하급수’라고 부를까? — 이름에 숨은 역사

수학을 배우다 보면 꼭 등장하는 기하급수.
하지만 이름만 놓고 보면 “기하학과 관련된 급수인가?”라는 의문이 듭니다.
사실 여기에는 역사적 번역의 흔적이 숨어 있습니다.


1. 기하급수의 정체

먼저 기하급수가 뭔지부터 짚어볼까요?

1+r+r2+r3+1 + r + r^2 + r^3 + \cdots

이처럼 항이 일정한 비율(공비, ratio)로 곱해지는 수열을 **등비수열 (geometric progression)**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그 항들을 더한 것이 바로 **기하급수 (geometric series)**죠.

즉, “기하급수 = 등비수열을 항으로 가지는 급수”입니다.


2. 왜 하필 ‘기하(geometric)’일까?

여기서 “기하(幾何, geometric)”는 **기하학(geometry)**을 뜻하는 게 아닙니다.
원래는 “비례, 비율(proportion)”을 다룬다는 의미에서 나온 표현이에요.

  • 등차수열 (arithmetic progression): 항이 일정한 차(덧셈)로 이어짐

  • 등비수열 (geometric progression): 항이 일정한 비율(곱셈)로 이어짐

즉, 산술적(arithmetic) vs **비례적(geometric)**이라는 대비 속에서 나온 말입니다.
고대 그리스 수학에서 “비율”은 기하학에서 주로 다뤄졌기 때문에 geometric이라는 단어가 붙은 것이죠.


3. 일본식 번역의 영향

한국어 교재에서 쓰는 **“기하급수(幾何級數)”**는 사실 일본에서 만들어진 번역어를 그대로 받아들인 것입니다.

  • 幾何(기하) = geometric

  • 級數(급수) = series

하지만 현대 한국어에서 “기하”는 거의 항상 **기하학(geometry)**을 가리키다 보니,
“기하급수”라는 표현이 괜히 “기하학적 무슨 특수한 급수”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사실은 그냥 비율로 이어지는 수열의 합일 뿐인데요 😅


4. 이름이 불러오는 오해

이름 때문에 학생들이 이런 오해를 합니다:

  • “기하학과 관련 있나?”

  • “도형이랑 연결되는 건가?”

하지만 실제로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그냥 “공비로 곱해 나가는 수열의 합”이라는 단순한 개념이죠.

차라리 한국어로는 “등비급수”라고 불렀으면 더 직관적이지 않았을까요?


✅ 마무리

정리하면,

  • 기하급수 = 등비수열을 더한 급수

  • “기하(geometric)”는 **비례(proportion)**에서 온 말

  • 일본식 번역어 때문에 오늘날 한국어에서는 괜히 “기하학” 느낌을 풍기게 된 것

👉 그러니 “기하급수”라는 말이 나오면, “기하학”은 잠시 잊고 비율로 이어지는 수들의 합이라고 생각하는 게 맞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3선 결선식 센서의 타입 PNP, NPN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전력(kW) 계산하기 (직류, 교류 단상, 교류 삼상)

사각형의 넓이 공식의 증명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스마트팜] 저비용 센서 기반 태양광 패널 태양 추적 시스템 아이디어

NPN, PNP 트랜지스터 차이점

[스마트팜] EC/pH 미터 만들기: 아두이노로 전기 전도도 및 pH 측정

[주식] 한국거래소(KRX) 데이터 API 입문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