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d²y/dx²에서 숫자 위치가 왜 중요한가? – 미분 기호의 역사와 의미
d²y/dx²에서 숫자 위치가 왜 중요한가? – 미분 기호의 역사와 의미
미적분을 공부하다 보면, 2차 미분 표기인 d²y/dx²를 처음 보고 “왜 분자와 분모 숫자 위치가 다르지?” 혹은 “dx²는 x²를 의미하는 게 아니야?” 하는 혼란을 느끼게 됩니다. 사실 이 표기법에는 역사적 배경과 계산 편의가 담겨 있습니다.
1. d²y/dx²의 기본 의미
-
분자 위 숫자 2 → 종속변수 y를 두 번 미분
-
분모 아래 숫자 2 → 독립변수 x에 대해 두 번 미분
즉, d²y/dx²는 “y를 x에 대해 두 번 미분한 값”을 나타냅니다.
중요한 포인트: dx²가 x²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x에 대해 두 번 미분한다는 표시입니다.
2. 왜 분자와 분모 숫자 위치가 달라 보일까?
Leibniz는 미분을 분수처럼 보이게 해서 계산을 직관적으로 만들고자 했습니다.
-
1차 미분: dy/dx → y를 x 한 번 미분
-
2차 미분: d²y/dx² → y를 x에 대해 두 번 미분
분수 형태로 쓰면, 연쇄법칙(chain rule)과 계산을 분수처럼 처리할 수 있는 직관이 생깁니다.
예:
즉, “1차 미분 dy/dx를 x에 대해 한 번 더 미분”과 동일하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분자 dy²와 분모 dx²는 왜 의미가 다를까?
-
잘못된 표기: dy²/dx²
-
수학적으로는 “(dy)² / dx²” → 의미가 모호
-
y²를 미분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제곱 기호가 붙어 혼동 가능
-
-
올바른 표기: d²y/dx²
-
y를 x에 대해 두 번 미분한 것
-
분자와 분모 숫자 위치가 달라서 의미가 명확히 구분됨
-
결론: 분자 숫자 = 종속변수 미분 횟수, 분모 숫자 = 독립변수 미분 횟수라는 규칙은 역사적 약속이자 계산 편의를 위한 표시입니다.
4. 요약
-
d²y/dx²에서 분자 위 2는 y를 두 번 미분
-
분모 아래 2는 x에 대해 두 번 미분
-
dx²는 x²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
-
dy²/dx²처럼 쓰면 의미가 완전히 달라지므로 사용하지 않음
-
숫자 위치가 다른 이유는 계산 직관성과 역사적 표기법 때문
이 글을 통해 “숫자의 위치가 다르면 의미도 다르다”는 점을 이해하면, 미적분에서 2차 이상 미분을 볼 때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