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미분방정식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그리고 ODE와 PDE 구분하기
미분방정식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그리고 ODE와 PDE 구분하기
미분방정식을 처음 접하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는 어떻게 구분하지?”라는 질문이 자연스럽게 떠오릅니다. 이 글에서는 미분방정식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구분하는 방법과 상미분방정식(ODE)과 편미분방정식(PDE)의 차이까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1.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독립변수 (Independent Variable)
-
값이 자유롭게 바뀌는 변수를 말합니다.
-
보통 시간, 공간 좌표, 입력 값 등이 독립변수가 됩니다.
-
미분방정식에서 “무엇에 대해 미분하는가?”가 독립변수를 결정하는 핵심 포인트입니다.
종속변수 (Dependent Variable)
-
값이 독립변수에 따라 결정되는 변수입니다.
-
미분방정식에서 미분 대상이 되는 함수가 종속변수가 됩니다.
2.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구분 방법
-
함수로 표현된 변수 확인
-
예: → y는 종속변수, x는 독립변수
-
-
미분이 기준이 되는 변수 확인
-
예: → dx 기준으로 y가 변화 → x는 독립변수
-
-
문제 맥락 고려
-
시간에 따라 값이 변하면 시간 = 독립변수
-
공간상 위치에 따라 값이 변하면 좌표 = 독립변수
-
3. 상미분방정식(ODE,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
-
정의: 하나의 독립변수에 대해 하나 이상의 미지 함수의 **보통 도함수(ordinary derivatives)**만 포함하는 방정식
-
형식:
-
예시:
-
독립변수 t (시간)
-
종속변수 y(t)
-
설명: “시간 t에 따라 y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나타냅니다.
4. 편미분방정식(PDE,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
정의: 두 개 이상의 독립변수에 대해 하나 이상의 미지 함수의 **편미분(partial derivatives)**을 포함하는 방정식
-
형식:
-
예시:
-
독립변수 x, y (공간 좌표)
-
종속변수 u(x, y) (위치에 따른 값)
-
설명: “공간상의 위치 (x, y)에 따라 u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나타냅니다.
5. 핵심 정리
구분 | 정의 | 예시 |
---|---|---|
독립변수 | 값이 자유롭게 바뀌는 변수 | 시간 t, 좌표 x, y |
종속변수 | 독립변수에 따라 결정되는 변수 | y(t), u(x,y) |
상미분방정식 (ODE) | 단일 독립변수에 대한 미분방정식 | |
편미분방정식 (PDE) | 두 개 이상의 독립변수에 대한 미분방정식 |
미분방정식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단일 독립변수의 경우는 ODE, 다중 독립변수의 경우는 PDE로 구분하면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