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미분방정식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그리고 ODE와 PDE 구분하기

 

미분방정식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그리고 ODE와 PDE 구분하기

미분방정식을 처음 접하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는 어떻게 구분하지?”라는 질문이 자연스럽게 떠오릅니다. 이 글에서는 미분방정식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구분하는 방법상미분방정식(ODE)과 편미분방정식(PDE)의 차이까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1.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독립변수 (Independent Variable)

  • 값이 자유롭게 바뀌는 변수를 말합니다.

  • 보통 시간, 공간 좌표, 입력 값 등이 독립변수가 됩니다.

  • 미분방정식에서 “무엇에 대해 미분하는가?”가 독립변수를 결정하는 핵심 포인트입니다.

종속변수 (Dependent Variable)

  • 값이 독립변수에 따라 결정되는 변수입니다.

  • 미분방정식에서 미분 대상이 되는 함수가 종속변수가 됩니다.


2.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구분 방법

  1. 함수로 표현된 변수 확인

    • 예: y(x)y(x) → y는 종속변수, x는 독립변수

  2. 미분이 기준이 되는 변수 확인

    • 예: dydx\frac{dy}{dx} → dx 기준으로 y가 변화 → x는 독립변수

  3. 문제 맥락 고려

    • 시간에 따라 값이 변하면 시간 = 독립변수

    • 공간상 위치에 따라 값이 변하면 좌표 = 독립변수


3. 상미분방정식(ODE,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

  • 정의: 하나의 독립변수에 대해 하나 이상의 미지 함수의 **보통 도함수(ordinary derivatives)**만 포함하는 방정식

  • 형식: dydt=f(t,y)\frac{dy}{dt} = f(t, y)

  • 예시:

dydt=3y+2\frac{dy}{dt} = 3y + 2
  • 독립변수 t (시간)

  • 종속변수 y(t)

  • 설명: “시간 t에 따라 y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나타냅니다.


4. 편미분방정식(PDE,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 정의: 두 개 이상의 독립변수에 대해 하나 이상의 미지 함수의 **편미분(partial derivatives)**을 포함하는 방정식

  • 형식: ux+uy=0\frac{\partial u}{\partial x} + \frac{\partial u}{\partial y} = 0

  • 예시:

ux+uy=0\frac{\partial u}{\partial x} + \frac{\partial u}{\partial y} = 0
  • 독립변수 x, y (공간 좌표)

  • 종속변수 u(x, y) (위치에 따른 값)

  • 설명: “공간상의 위치 (x, y)에 따라 u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나타냅니다.


5. 핵심 정리

구분정의예시
독립변수값이 자유롭게 바뀌는 변수시간 t, 좌표 x, y
종속변수독립변수에 따라 결정되는 변수y(t), u(x,y)
상미분방정식 (ODE)단일 독립변수에 대한 미분방정식dydt=3y+2\frac{dy}{dt} = 3y + 2
편미분방정식 (PDE)두 개 이상의 독립변수에 대한 미분방정식ux+uy=0\frac{\partial u}{\partial x} + \frac{\partial u}{\partial y} = 0

미분방정식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단일 독립변수의 경우는 ODE, 다중 독립변수의 경우는 PDE로 구분하면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PLC] 릴레이와 전자 접촉기 (MC)

전력(kW) 계산하기 (직류, 교류 단상, 교류 삼상)

[주식] 한국거래소(KRX) 데이터 API 입문 가이드

3선 결선식 센서의 타입 PNP, NPN

[농사] 천연 식물성 살충제 종류 및 제조법

[PLC] 래더 다이어그램과 PLC

NPN, PNP 트랜지스터 차이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