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PLC 기반 환경제어 육묘장 만들기 아이디어

 

🌱 PLC 기반 환경제어 육묘장 만들기 – DIY 자동화 프로젝트

요즘 집에서도 상추나 허브 같은 작물을 손쉽게 키우고 싶어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안정적인 육묘(묘종 키우기)는 생각보다 까다로운 환경 관리가 필요하죠. 이 글에서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제어기)**를 기반으로 한 환경제어 육묘장 DIY 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 1. 육묘장을 자동화하면 좋은 이유

  • 광량, 온도, 습도 등 외부 환경이 일정하지 않음

  • 수동 관수, 환기, 조명 제어는 번거롭고 부정확

  • 자동화를 통해 생육률 향상작업 시간 단축


📦 2. 필요한 구성 요소

구성 요소기능
🧊 리빙박스육묘 공간 확보 및 밀폐용
💡 식물 LED광합성 유도 조명 (450nm + 660nm)
💧 워터펌프자동 관수 (저면관수 or 미스트 분사)
💨 팬 (환기)내부 공기 순환, 곰팡이 방지
🧪 습도센서대기 습도 감지
🌡️ 온도센서온도 감지 (예: DS18B20)
❄️ 펠티어 소자냉방 및 온도 조절용 (양방향 가능)
🔥 PTC 히터난방용 보조 히터
🧠 PLC 제어기모든 장치 제어의 두뇌 역할
 

💡 PLC는 Mitsubishi, Keyence, LS산전 제품군이나, 실험용으로는 Arduino + 릴레이도 OK!


🧠 3. 어떻게 제어할까? (기초 제어 로직)

💡 LED 조명

  • 낮 시간에 자동 점등 (예: 하루 12시간 타이머)

  • 필요 시 센서 기반 보광도 가능

💧 워터펌프

  • 하루 3회, 10초간 관수

  • 혹은 토양 습도 센서 기반 자동 관수

🌡️ 온도 제어 (펠티어 & 히터)

  • 목표 온도 24℃ ± 2℃

  • 펠티어로 냉방, PTC 히터로 난방

  • 간단한 비교 제어 or PID 제어 활용 가능

💨 팬 (환기)

  • 온도 28℃ 이상 or 습도 90% 이상 시 작동

  • 조도 부족 시 팬 꺼짐으로 보온 유지


🔌 4. PLC와의 연결 방법

장치연결 방식
센서류아날로그 입력 or 시리얼 (RS485)
릴레이 출력펌프, LED, 팬, 히터 등 제어
펠티어 제어릴레이 2개 or H-브릿지 회로 사용
타이머, 비교기내부 제어 논리 구성 시 사용

💡 PLC Ladder Diagram(LD)이나 Structured Text(ST)로 로직 구성 가능


🖼️ 5. 간단한 시스템 구성도


[센서들] ──→ [PLC 입력] ──┐ ↓ [PLC 내부 제어 로직 (온습도, 시간)][LED] ←── [릴레이] ←─── [PLC 출력] [펌프] ←── [릴레이] ←───┘ [펠티어, 히터, 팬] ← 릴레이 or PWM

🔍 6. 팁 & 주의사항

  • 펠티어 제어는 과열 방지 회로 필수 (히트싱크 + 팬)

  •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는 PLC와의 아날로그 호환성 고려

  • 릴레이는 전류 정격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

  • 전원 차단 및 비상 정지 기능도 고려하면 좋음


📈 7. 앞으로 확장하려면?

  • SCADA or HMI를 연동해 시각화

  • 스마트폰 원격 모니터링 (Wi-Fi 모듈 + 웹서버)

  • 생육 데이터 기록 → 데이터 기반 작황 개선


🪴 마무리

PLC 기반 환경제어 육묘장은 단순히 “자동 물 주기”를 넘어서, 온습도, 조도, 환기, 보온까지 통합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주 강력한 시스템입니다. 초기 세팅이 조금 번거롭지만, 한번 구축해두면 계절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작물을 안정적으로 키울 수 있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사각형의 넓이 공식의 증명

3선 결선식 센서의 타입 PNP, NPN

[PLC] 릴레이와 전자 접촉기 (MC)

[PLC] MELSEC-Q 시리즈 CPU RS-232C 6핀 커넥터 핀맵

NPN, PNP 트랜지스터 차이점

[주식] 한국거래소(KRX) 데이터 API 입문 가이드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농사] 천연 식물성 살충제 종류 및 제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