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증명: 소수는 무한히 많다 - 유클리드의 고전적인 증명
수학에서 소수(Prime Number)는 1과 자기 자신 외에는 다른 어떤 수로도 나누어지지 않는 자연수를 의미합니다. 소수는 수론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며, 무한히 존재한다는 사실이 고대 그리스 수학자 **유클리드(Euclid)**에 의해 증명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모순법(proof by contradiction)**을 사용하여 소수가 무한히 많음을 증명해 보겠습니다.
소수의 무한성을 증명하기
1. 가정 (Contradictory Assumption)
소수가 유한하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즉, 우리가 모든 소수를 나열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이 소수들은 다음과 같이 유한한 개수만 존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2. 새로운 수 정의
이제 기존에 존재하는 모든 소수를 곱한 뒤, 1을 더한 새로운 수
즉, 모든 소수의 곱에 1을 더한 수입니다.
3. 이 새로운 소수를 포함함을 보이기
이제
을 기존의 소수 중 하나인 로 나누면 항상 나머지가 1이 남습니다.- 즉, 기존의 소수들 중 어떤 것도
을 나눌 수 없습니다.
이것은
4. 모순 도출 (Contradiction)
- 만약
이 소수라면, 이는 기존 목록에 없는 새로운 소수이므로, 처음에 가정한 **"소수는 유한하다"**는 가정에 모순됩니다. - 만약
이 합성수라면, 그 소인수 중 하나는 기존 목록에 없는 새로운 소수일 것입니다. -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소수는 유한할 수 없습니다.
이로써 소수는 무한히 많다는 결론이 도출됩니다.
결론
유클리드의 이 증명은 수학에서 가장 유명한 증명 중 하나로, 소수가 무한히 많음을 간결하면서도 강력하게 보여줍니다.
이 증명은 이후의 수론 연구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에도 수학의 기초 개념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다루는 수가 아무리 크더라도, 언제나 새로운 소수를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은 소수의 신비로움을 더욱 부각시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