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왜 랜덤워크는 기대값이 0인데 실제 위치는 0이 아닐까?

 

🎲 왜 랜덤워크는 기대값이 0인데 실제 위치는 0이 아닐까?

수학적 기대값은 0인데도, 왜 랜덤워크 결과는 항상 0에서 멀어질까?


📌 랜덤워크란?

랜덤워크(Random Walk)는 매 순간 무작위 방향으로 한 걸음씩 움직이는 과정을 말합니다. 가장 단순한 예로는 다음과 같은 1차원 걷기입니다:

  • +1: 오른쪽으로 한 걸음

  • –1: 왼쪽으로 한 걸음

10번 걷는다면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올 수 있죠:

[+1, -1, +1, +1, -1, -1, +1, +1, -1, -1] → 최종 위치: +1

🧠 기대값(E[X])이란?

기대값이란 **“많은 시행을 했을 때의 평균”**입니다.

각 걸음이 +1 또는 –1이 나올 확률이 동일하다면, 한 걸음의 기대값은:

E[X]=(+1)×0.5+(1)×0.5=0

즉, 이론적으로는 걸음 수가 늘어날수록 평균 위치는 0에 가까워진다는 뜻입니다.


🤔 그런데 실제로는 0에 가지 않아요

이제부터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 기대값 0은 "평균적으로 0 근처에 분포한다"는 뜻이지

  • 항상 0이 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예를 들어 100번 시행을 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실험 1: +2 실험 2: -8 실험 3: +10 ...

→ 대부분의 경우 실제 위치는 0이 아닙니다.


📈 퍼짐은 √N에 비례한다

이걸 수학적으로 보면,
걸음 수가 NN일 때 **위치의 분산(Variance)**은:

Var(RN)=N

따라서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는:

σ=N​

즉, 걸음 수가 많아질수록 랜덤워크는 0 근처에 평균적으로 있지만,
그 주변에서 점점 더 퍼지게 됩니다.


🌫️ 비유: 안개 속에서 걷는 사람

“안개 속에서 방향감각을 잃은 사람이 무작위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걷는다.”

이 사람이 10걸음, 100걸음, 1000걸음을 걷는다고 해보세요.

  • 평균적으로는 제자리 근처에 머무릅니다.

  • 그러나 실제로는 10칸, 30칸, 심지어 100칸 이상 멀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기대값은 0이지만 결과는 0이 아닐 수 있는 이유입니다.


✅ 요약 정리

개념설명
기대값 (E[X])많은 시행의 평균은 0
실제 위치대부분 0이 아님
분산걸음 수에 비례
표준편차N\sqrt{N} 만큼 퍼짐
직관무작위로 걷다 보면 퍼지지만 평균은 중심에 수렴

💡 덤: 파이썬으로 랜덤워크 시뮬레이션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N = 1000 steps = np.random.choice([-1, 1], size=N) position = np.cumsum(steps) plt.plot(position) plt.title("1D Random Walk") plt.xlabel("Step") plt.ylabel("Position") plt.grid() plt.show()

📚 마무리

랜덤워크는 단순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확률과 통계의 핵심 개념들을 응축하고 있습니다. 기대값과 실제 결과가 다를 수 있다는 점은 투자, 자연현상, 데이터 분석 등 많은 분야에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기대값이 0이라는 사실은 ‘그 주위에서 놀고 있다’는 것이지 ‘항상 0이다’라는 뜻은 아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전력(kW) 계산하기 (직류, 교류 단상, 교류 삼상)

[주식] 한국거래소(KRX) 데이터 API 입문 가이드

3선 결선식 센서의 타입 PNP, NPN

사각형의 넓이 공식의 증명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스마트팜] EC/pH 미터 만들기: 아두이노로 전기 전도도 및 pH 측정

3상 모터 전력에서 전류 계산하기 (How to Convert Three-Phase Power to Amps)

[PC] 최대절전모드에서 PC가 멋대로 켜지는 이유와 해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