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랜덤워크와 드리프트 확률

랜덤워크와 드리프트 확률 p=12(1+μσΔ)p = \frac{1}{2} \left(1 + \frac{\mu}{\sigma} \sqrt{\Delta} \right)의 해부


🧩 문제의 수식

금융 모델에서 아주 자주 등장하는 랜덤워크(random walk) 또는 브라운 운동 근사에서 다음과 같은 확률 수식이 나옵니다.

p=12(1+μσΔ)p = \frac{1}{2} \left(1 + \frac{\mu}{\sigma} \sqrt{\Delta} \right)

이 식은 시간 간격 Δ\Delta 동안 자산이 한 단계 위로 움직일 확률 pp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왜 확률이 이런 형태를 띠는 걸까요?


🎲 랜덤워크와 드리프트의 개념

랜덤워크란 매 시간마다 가격이 위로 또는 아래로 같은 폭만큼 움직이는 과정을 말합니다.
하지만 현실의 자산은 완전히 무작위는 아니고, 조금씩 한 방향으로 치우치는 경향(drift, μ\mu)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움직임의 진폭 정도는 변동성(volatility, σ\sigma)로 측정합니다.


🔍 직관적으로 해석하면?

  • μ\mu는 방향성 (평균적으로 어디로 가는가?)

  • σ\sigma는 요동 정도 (얼마나 불규칙하게 움직이는가?)

  • Δ\Delta는 시간 간격 (짧은 시간 동안 얼마나 움직일 수 있나?)


⚙️ 수식 유도 아이디어

이항 모형(binomial model)을 사용해보면, 자산 가격이 매 시간 Δ\Delta마다 다음과 같이 움직입니다.

  • 위로 오를 확률 pp, 아래로 떨어질 확률 1p1 - p

  • 한 번 오를 때 +ϵ+\epsilon, 떨어질 때 ϵ-\epsilon 만큼 변화

이동한 기대값과 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대값:

    E[X]=pϵ+(1p)(ϵ)=(2p1)ϵ
  • 분산:

    Var[X]=ϵ2(1(2p1)2)=4p(1p)ϵ2

이제, 브라운 운동의 이론적 특성 (즉, 평균 μΔ\mu \Delta, 분산 σ2Δ\sigma^2 \Delta)에 맞추기 위해 다음과 같이 맞춰야 합니다:

(2p1)ϵ=μΔ,4p(1p)ϵ2=σ2Δ

보통 ϵ=σΔ\epsilon = \sigma \sqrt{\Delta}로 두고 위 식에 대입하면, pp에 대한 식이 유도됩니다. 이 과정을 정리하면:

p=12(1+μσΔ)p = \frac{1}{2} \left(1 + \frac{\mu}{\sigma} \sqrt{\Delta} \right)

✨ 핵심 정리

  • 이 수식은 이항모형으로 브라운 운동을 근사할 때 등장합니다.

  • μ\mu가 클수록 위로 오를 확률이 절반보다 커지고,

  • σ\sigma가 클수록 그 영향은 완화됩니다.

  • Δ0일 때 확률은 거의 0.5에 수렴하고, 모델은 브라운 운동에 가까워집니다.


📚 이 수식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수학 커리큘럼

수식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아래 주제들을 순서대로 공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1. 수학 기초

  • 함수, 그래프, 미분·적분

  • 지수, 로그, 극한

📘 Calculus – James Stewart
📘 Precalculus – Ron Larson


2. 확률과 통계

  • 이산/연속 확률변수

  • 기댓값, 분산, 이항/정규 분포

  • 중심극한정리

📘 A First Course in Probability – Sheldon Ross
📘 Introduction to Probability – Bertsekas & Tsitsiklis


3. 선형대수와 벡터 해석 (선택 사항)

  • 벡터, 행렬 연산

  • 선형 결합과 분산-공분산

📘 Linear Algebra Done Right – Sheldon Axler


4. 확률과정 & 금융수학 입문

  • 랜덤워크, 브라운 운동

  • 이항모형, Black-Scholes 모형 개요

  • Ito 보조정리 (선택)

📘 Stochastic Processes – Sheldon Ross
📘 Stochastic Calculus with Applications – Klebaner
📘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 – John Hull


이 커리큘럼을 차근차근 따라가면 수식뿐 아니라 금융수학 전체 구조에 대한 직관도 함께 키울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전력(kW) 계산하기 (직류, 교류 단상, 교류 삼상)

[주식] 한국거래소(KRX) 데이터 API 입문 가이드

3선 결선식 센서의 타입 PNP, NPN

사각형의 넓이 공식의 증명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스마트팜] EC/pH 미터 만들기: 아두이노로 전기 전도도 및 pH 측정

3상 모터 전력에서 전류 계산하기 (How to Convert Three-Phase Power to Amps)

[PC] 최대절전모드에서 PC가 멋대로 켜지는 이유와 해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