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Proportionality(비례 관계) 의 영어식 개념 이해
📘 Proportionality — 영어식 ‘비례 관계’의 진짜 의미
우리가 수학 시간에 흔히 배우는 “비례 관계(proportionality)”는 한국어나 일본어로는 보통 **‘비례한다(比例する)’**라고 번역됩니다.
그런데 이 번역은 영어권 수학자가 실제로 생각하는 proportionality의 핵심 개념과는 미묘하게 다릅니다.
🔹 1. 영어식 정의
영어로 **“y is proportional to x”**라고 하면, 그 의미는 **“y가 항상 x의 일정한 상수배이다”**입니다.
즉, 어떤 상수 가 존재해서
가 성립할 때, 우리는 “y is proportional to x”라고 말합니다.
이때의 를 constant of proportionality (비례 상수) 라고 부릅니다.
👉 영어식 proportionality = 정확한 상수배 관계
🔹 2. 예시로 보는 영어식 사고
“The distance traveled is proportional to time when speed is constant.”
이 문장은 단순히 “시간이 늘면 거리도 늘어난다”는 뜻이 아닙니다.
정확히는,
라는 함수적 관계(functional relationship) 를 말합니다.
즉, 속도 가 일정할 때, 거리는 시간의 정확한 상수배로 증가합니다.
이게 바로 영어에서 말하는 proportional relationship이에요.
🔹 3. 한국식 “비례 관계”와의 차이
구분 | 한국식/일본식 “비례 관계” | 영어식 “proportionality” |
---|---|---|
의미 | 대략 함께 커지거나 작아지는 관계 | 항상 일정한 상수배로 변하는 관계 |
강조점 | 경향성 / 추세 | 함수적 정확성 |
예시 표현 | “온도와 부피는 비례한다” | “ is proportional to ” ⇒ |
한국식 ‘비례’는 느낌상 같이 움직이는 관계를 의미할 때도 많지만,
영어권에서 proportional이라 하면 반드시 정확한 상수배 관계를 의미합니다.
🔹 4. 직비례와 반비례 (Direct vs Inverse Proportionality)
-
Direct proportionality (직비례)
-
Inverse proportionality (반비례)
영어에서 “inverse proportional”은 단순히 “반비례한다”가 아니라,
“y가 x의 역수의 상수배이다”라는 정확한 함수 관계를 의미합니다.
🔹 5. 핵심 요약
영어식 핵심 정의 | 설명 |
---|---|
y는 x의 상수배로 변한다 → | |
constant of proportionality | 두 변수의 비례 비율을 결정하는 상수 |
direct proportionality | 직선 관계 (기울기 k) |
inverse proportionality | 역수 관계 ( ) |
🔹 6. 마무리
영어권에서 proportionality는 “함수적 정확성”을 가진 개념입니다.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식의 느슨한 의미가 아니라,
**“한 변수가 다른 변수의 일정한 상수배로 결정된다”**는 것이죠.
즉,
“y is proportional to x”
→ “There exists a constant k such that y = kx.”
이 한 문장이 바로 proportionality의 영어식 정의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