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트레이딩] 페어 트레이딩으로 스마트하게 투자하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활용한 롱/숏 전략 + 자동화 아이디어
📌 페어 트레이딩(Pair Trading)이란?
페어 트레이딩은 **가격이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는 두 종목 간의 가격 차이(스프레드)**를 분석하여,
그 차이가 평균에서 벗어났을 때 매매를 하는 시장 중립적 전략입니다.
예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두 종목이 함께 움직이다가 어느 날 한쪽이 더 오르면,
고평가된 쪽은 매도(숏), 저평가된 쪽은 매수(롱).
🧪 우리가 활용한 데이터와 도구
-
데이터 소스: Yahoo Finance (일봉 데이터)
-
종목: 삼성전자 (
005930.KS
) vs SK하이닉스 (000660.KS
) -
도구:
-
yfinance
: 주가 데이터 수집 -
pandas
: 데이터 처리 -
statsmodels
: OLS 회귀로 헤지 비율 계산 -
matplotlib
: 그래프 시각화
-
🔍 분석 로직 요약
-
전날 기준 1년치 데이터 수집
-
OLS 회귀로 헤지 비율 (hedge ratio) 계산
-
스프레드 = Target1 - hedge_ratio × Target2
-
스프레드의 Z-score 계산
-
진입 조건:
-
z-score > 1
: Target1 매도, Target2 매수 -
z-score < -1
: Target1 매수, Target2 매도
-
💡 예제 코드 (핵심 부분 요약)
📈 실제 결과 예시 (삼성전자 & 하이닉스)
-
기간: 최근 1년간
-
누적 수익률: 약 39.56% (z-score 진입 후, 원상 복귀 기준)
-
수수료 반영 시 (0.03%)도 전략 수익이 유지됨
🔔 자동화 아이디어
1️⃣ 롱/숏 포지션 알림 시스템
-
매일 아침 전날 데이터를 기준으로:
-
어떤 종목을 매수할지 / 매도할지 자동 판단
-
Slack, Telegram, 이메일 등으로 알림
-
2️⃣ 페어 종목 추천 기능
-
다수 ETF나 주식 리스트에서:
-
상관계수 높은 조합 자동 탐색
-
공적분(cointegration) 검정 통과 여부 확인
-
유망 페어 자동 제안
-
🌱 향후 확장 방향
-
Streamlit 기반 시각화 대시보드
-
백테스트 모듈 탑재
-
자동 트레이딩 봇 연동 (실거래 or 가상 계좌)
-
머신러닝 기반 스프레드 예측 모델
✅ 마무리
페어 트레이딩은 시장 방향성과 무관하게 수익을 낼 수 있는 전략입니다.
특히 삼성전자 vs SK하이닉스처럼 유사한 업종/섹터에 있는 종목들은
실제로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경우가 많죠.
이번 글에서는 단순한 통계적 방법으로 롱/숏 전략을 수립했고,
향후 자동화 및 추천 시스템까지 연결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여러분도 이 전략을 개선하고 백테스트하면서 자신만의 퀀트 전략을 개발해보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