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트레이딩] 암호화폐 페어 트레이딩 전략 아이디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가격 움직임을 이용한 페어 트레이딩(pair trading) 전략을 Python 코드와 함께 소개합니다.
1. 🧠 페어 트레이딩이란?
페어 트레이딩은 서로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는 두 자산(예: 주식, ETF, 암호화폐) 사이의 상대적인 가격 차이를 활용한 시장중립형 전략입니다. 두 자산이 통계적으로 안정적인 관계(공적분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하고, 일시적인 괴리를 수익 기회로 활용합니다.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두 자산의 가격 차이가 평균으로 회귀한다고 가정
-
괴리가 커지면 한쪽 매수, 다른 한쪽 매도 (롱/숏 포지션 동시 보유)
-
다시 평균으로 수렴하면 청산하여 수익 실현
2. 💸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페어 트레이딩이 유효한가?
그렇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이유로 암호화폐 시장은 페어 트레이딩에 적합합니다:
-
높은 상관성: BTC와 ETH는 구조적·심리적으로 동조화된 움직임을 보입니다.
-
24시간 거래: 중단 없는 가격 데이터 수집 가능
-
높은 변동성: 통계적 괴리 빈번 → 수익 기회 많음
-
비효율성 존재: 미성숙한 시장 특성상 과잉반응·오차 발생 가능
따라서 BTC-ETH처럼 공적분 관계가 성립하는 자산 쌍을 찾아내면, 가격 차이의 회귀를 이용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3. ⚙️ 분석 대상: BTC vs ETH
이번 실습에서는 대표적인 상관쌍인 BTC(비트코인)와 ETH(이더리움)을 사용합니다.
-
BTC-USD: 시장 기준이자 리스크 자산
-
ETH-USD: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플랫폼 코인
4. 🧪 실습 코드: Beta 계산, 공적분 검정, Z-score 분석
5. 📊 시각화: 스프레드와 Z-score
6. 🧾 간단한 백테스트 전략 예시
7. ✅ 정리 및 다음 단계
-
BTC-ETH는 공적분 관계가 통계적으로 존재 가능성이 높음
-
단기적 괴리(Z-score)를 이용해 진입/청산 신호 생성 가능
-
베타 기반의 포지션 사이징(달러 중립) 중요
-
실제 매매에는 슬리피지, 거래 수수료, 유동성 고려 필수
📌 확장 아이디어
-
다중 페어 모델: BTC-ETH, BTC-BNB 등으로 포트폴리오 확장
-
머신러닝 보조 신호: LSTM, RandomForest로 스프레드 예측
-
다중 시계열 공적분: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
거래소 간 페어 트레이딩: Binance ↔ Upbit 가격 차이 포착
📚 참고자료
-
Gatev, Goetzmann, Rouwenhorst (2006), "Pairs Trading: Performance of a Relative-Value Arbitrage Rule"
-
Marcos Lopez de Prado, Advances in Financial Machine Learning
-
Statsmodels documentation (cointegration, OLS)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