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소르티노 지수: 샤프 지수의 맹점을 보완

 

📉 샤프 지수의 맹점? 그래서 소르티노 지수가 나왔습니다

이전 글에서는 투자 수익의 리스크 대비 효율성을 측정하는 지표인 **샤프 지수(Sharpe Ratio)**를 소개했습니다.
하지만 실제 투자 현장에서는 이런 의문이 생깁니다:

“리스크는 항상 나쁜 걸까?
수익이 너무 높아서 변동성이 커진 경우도 있는데 그것도 나쁜 건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이 바로 오늘의 주제, **소르티노 지수(Sortino Ratio)**입니다.


🔍 샤프 지수의 한계

샤프 지수의 단점은 **리스크(변동성)**를 무조건 나쁘다고 보는 것입니다.
즉, 수익이든 손실이든 모든 변동을 동일하게 취급합니다.

예를 들어:

  • 매월 수익이 다소 들쭉날쭉하지만 전부 양의 수익률인 경우

  • 한 달에 큰 손실이 나서 전체 수익률이 낮아진 경우

둘 다 표준편차(리스크)가 높게 측정되므로 샤프 지수는 낮게 나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첫 번째 경우는 투자자 입장에서는 나쁠 게 없죠. 우리는 수익 쪽의 변동은 감수할 수 있습니다!


💡 그래서 등장한: 소르티노 지수

소르티노 지수는 오직 **하방 리스크(Downside Risk)**만 고려합니다.
즉, 기대 수익률보다 낮은 수익만 리스크로 간주하고, 양의 수익률 변동은 무시합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Sortino Ratio=RpRfσd\text{Sortino Ratio} = \frac{R_p - R_f}{\sigma_d}
  • RpR_p: 포트폴리오의 평균 수익률

  • RfR_f: 무위험 수익률

  • σd\sigma_d: 하방 표준편차 (downside deviation)


📌 샤프 vs 소르티노: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구분샤프 지수소르티노 지수
리스크 측정 방식전체 변동성 (상·하방 모두)하방 리스크만
보수적 평가가능긍정적인 수익률에 유리
수익률 높은 전략리스크로 간주할 수도 있음수익은 리스크로 보지 않음
용도전통적인 포트폴리오 비교실전형 전략 평가에 더 유리

📊 예시: 두 전략 비교

항목전략 A (샤프 高)전략 B (소르티노 高)
평균 수익률10%12%
표준편차 (전체 리스크)5%8%
하방 표준편차 (손실 변동성)4%3%

샤프 지수:

  • A: 0.100.020.05=1.6\frac{0.10 - 0.02}{0.05} = 1.6

  • B: 0.120.020.08=1.25\frac{0.12 - 0.02}{0.08} = 1.25

소르티노 지수:

  • A: 0.100.020.04=2.0\frac{0.10 - 0.02}{0.04} = 2.0

  • B: 0.120.020.03=3.33\frac{0.12 - 0.02}{0.03} = 3.33

해석: 샤프 지수만 보면 전략 A가 더 나아 보이지만,
소르티노 지수는 전략 B가 훨씬 우수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즉, 전략 B는 수익은 높고, 손실은 적은 이상적인 전략이라는 평가가 가능합니다.


✅ 언제 소르티노 지수를 사용할까?

  • 고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이지만 변동성이 큰 경우

  • 손실 회피를 중요시하는 투자자일수록

  • AI 트레이딩, 퀀트 전략, 알고리즘 성능 비교 시


🧮 Python 코드 예시

import numpy as np def sortino_ratio(returns, risk_free_rate=0.0): mean_return = np.mean(returns) downside_returns = [min(0, r - risk_free_rate) for r in returns] downside_deviation = np.std(downside_returns) return (mean_return - risk_free_rate) / downside_deviation

📝 마무리: 진짜 나쁜 리스크만 걸러내자

소르티노 지수는 샤프 지수가 놓친 "좋은 변동성"과 "나쁜 변동성"을 구분합니다.
특히 실전 투자에서 긍정적인 수익의 변동을 리스크로 보고 싶지 않다면, 소르티노 지수를 꼭 활용하세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제너 다이오드에 저항을 연결하는 이유

[주식] 한국거래소(KRX) 데이터 API 입문 가이드

[농사]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

NPN, PNP 트랜지스터 차이점

[PLC] 절연 변압기 (Isolation Transformer)

전력(kW) 계산하기 (직류, 교류 단상, 교류 삼상)

[수학] 정규분포 식은 어떻게 유도된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