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기대값만 보면 안 되는 이유: 분산과 표준편차로 리스크 파악

 

📉 기대값만 보면 안 되는 이유: 분산과 표준편차로 리스크 파악하기

지난 글에서는 투자에서의 기대값(Expected Value) 개념을 다뤘습니다. 기대값은 미래의 평균 수익률을 알려주는 강력한 도구이지만, "얼마나 안정적으로 그 수익을 얻을 수 있는가?" 를 말해주지는 않습니다.

이제는 리스크(Risk), 즉 수익률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수치로 나타내는 **분산(Variance)**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에 대해 알아봅시다.


🧠 기대값을 넘는 수익이 자주 나올까?

예를 들어, 두 개의 투자 옵션이 있다고 해봅시다:

투자 A기대 수익률 8%, 매우 안정적 (±1%)
투자 B기대 수익률 8%, 매우 불안정 (±20%)

둘 다 기대값(평균 수익률)은 같지만, **수익률의 변동성(리스크)**는 완전히 다릅니다. 이 변동성을 수치화한 것이 바로 분산과 표준편차입니다.


📊 분산(Variance)이란?

분산은 각 수익률이 평균(기대값)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제곱하여 평균낸 값입니다.

Var(X)=i=1npi(xiE(X))2
  • xix_i: i번째 수익률

  • pip_i: 그 수익률이 나올 확률

  • E(X)E(X): 기대값(평균 수익률)

  • Var(X): 수익률의 "흩어짐" 정도


📏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표준편차는 분산의 제곱근입니다.

σ(X)=Var(X)\sigma(X) = \sqrt{\text{Var}(X)}

표준편차는 수익률이 평균에서 어느 정도로 흔들리는지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단위도 수익률과 동일하므로 해석이 쉽습니다.


💰 예시로 비교해보기

시나리오수익률 (xix_i)확률 (pip_i)
시나리오 1+20%0.3
시나리오 2+5%0.5
시나리오 3-10%0.2

이때, 기대 수익률은:

E(X)=(0.3×0.20)+(0.5×0.05)+(0.2×0.10)=6.5%

분산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Var(X)=0.3(0.200.065)2+0.5(0.050.065)2+0.2(0.100.065)2

표준편차:

σ(X)=0.01102510.5%

👉 이 투자에서는 **기대 수익률은 6.5%**지만, 실제 수익률은 평균에서 ±10% 이상 흔들릴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투자 판단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

기대값표준편차해석
높음낮음이상적인 투자: 수익도 높고 안정적
높음높음고수익 고위험: 대박이거나 폭망일 수 있음
낮음낮음안정적이지만 수익도 낮은 투자
낮음높음손해볼 가능성 높은 투자: 피해야 함

✅ 마무리: 수익률과 리스크를 함께 보자

기대 수익률만 보지 말고, 수익의 흔들림까지 고려해야 진짜 투자 판단이 가능합니다.

  • 기대값은 "얼마나 벌 수 있을까?"

  • 표준편차는 "얼마나 불안정할까?"

  • 이 두 개념을 함께 고려해야 **위험 대비 수익률(Risk-adjusted Return)**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제너 다이오드에 저항을 연결하는 이유

[주식] 한국거래소(KRX) 데이터 API 입문 가이드

[농사]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

NPN, PNP 트랜지스터 차이점

[PLC] 절연 변압기 (Isolation Transformer)

전력(kW) 계산하기 (직류, 교류 단상, 교류 삼상)

[수학] 정규분포 식은 어떻게 유도된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