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V-KOSPI는 어떻게 계산될까? 쉽게 정리한 개념과 수식
📊 V-KOSPI는 어떻게 계산될까? 쉽게 정리한 개념과 수식
투자 뉴스를 보다 보면 종종 "V-KOSPI가 급등했다", "변동성 장세 진입" 등의 표현을 접하게 됩니다.
이때 등장하는 V-KOSPI는 단순한 지표가 아닙니다.
이 글에서는 V-KOSPI가 실제로 어떻게 계산되는지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V-KOSPI란?
V-KOSPI는 코스피200 옵션 가격에 반영된 향후 30일간의 기대 변동성을 수치화한 지수입니다.
미국의 VIX(Volatility Index), 즉 공포지수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핵심 요약:
V-KOSPI는 미래 시장의 흔들림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를 수치로 표현한 지표입니다.
⚙️ 어떻게 계산될까?
V-KOSPI는 다음의 과정을 통해 계산됩니다:
1️⃣ 실시간 옵션 데이터 수집
-
코스피200의 다양한 행사가격에 대한 콜옵션 및 풋옵션 가격을 수집합니다.
2️⃣ 내재 변동성(IV) 계산
-
Black-Scholes 모형을 사용해, 현재 옵션 가격에 내재된 **변동성(Volatility)**을 계산합니다.
-
이 과정은 옵션 가격을 통해 변동성을 역산하는 방식입니다.
3️⃣ 30일 기준 변동성 정규화
-
옵션의 만기는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30일 기준의 기대 변동성으로 환산합니다.
4️⃣ 연율화 및 지수화
-
최종적으로 표준편차 값을 연율화하여 백분율(%)로 표시한 지수가 V-KOSPI입니다.
📐 핵심 수식 구조 (참고용)
여기서:
-
: 만기까지 남은 기간 (보통 30일 기준)
-
: 각 행사가격
-
: 행사가격 간격
-
: 해당 행사가격의 옵션 평균 프리미엄
-
: 코스피200 선물 가격
-
: ATM (At-the-money) 기준 행사가
-
: 무위험 수익률
계산이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핵심은 "옵션 가격을 기반으로 시장이 얼마나 흔들릴지를 예측"하는 것입니다.
💡 투자자가 직접 계산할 수 있을까?
-
실시간 옵션 데이터가 필요하며, 수십 개의 옵션 프리미엄을 종합해야 합니다.
-
또한, 수치 해석 기법(보간, 로그 수익률 조정 등)과 파이썬 같은 프로그래밍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일반 투자자가 직접 계산하기는 매우 어렵고,
대부분은 **한국거래소(KRX)**나 ETN/ETF 상품 지표를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합니다.
📘 참고 자료
✍️ 마무리 요약
항목 | 설명 |
---|---|
V-KOSPI란? | 코스피200 옵션에 내재된 변동성을 지수화한 것 |
계산 원리 | 옵션 가격 → 내재 변동성 → 30일 기준 변동성 → 지수화 |
일반 투자자 활용법 | 직접 계산은 어렵지만 방향성과 투자 심리 판단에 유용 |
참고 팁 | V-KOSPI가 급등하면 시장 공포가 커졌음을 의미함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