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딩] 상대적 재산 증가율 식 모델링 과정

 

💡 상대적 재산 증가율과 로그 효용 함수는 어떻게 유도되었을까?

우리가 경제적 의사결정 모델에서 자주 접하는 식 중 하나가 다음과 같은 로그 형태의 효용 함수입니다:

U(w+x)=log(w+xw)=log(1+xw)

이 수식은 단순히 어떤 '편리한 형태'로 도입된 것이 아닙니다. 실제로는 인간의 의사결정과 장기 생존 전략을 설명하기 위해 여러 학문적 배경과 모델링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과입니다. 이 글에서는 그 과정을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1. 💭 인간의 의사결정은 절대값이 아니라 '비율'을 본다

경제학자들과 심리학자들은 오래전부터 한 가지 의문을 가졌습니다.

"왜 사람들은 같은 1,000원을 얻는 것에도 상황에 따라 다른 가치를 부여할까?"

이 질문에 대한 초기 답변은 효용(utility)의 체감입니다. 재산이 늘어날수록 추가 1원의 가치가 점점 줄어들기 때문에, 절대 수익보다는 상대 수익률이 실제 만족도에 더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세워졌습니다.

예:

  • 1,000원이 전 재산의 100%일 땐 매우 크지만,

  • 1억 원 중의 1,000원은 거의 무시됩니다.

이 관점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상대 재산 증가율=w+xw​

이때 이 비율의 자연로그를 취하면 상대적 효용 증가를 측정하는 지표가 됩니다:

log(w+xw)=log(1+xw)

이것이 로그 효용 함수의 기초 형태입니다.


2. 📜 역사적 배경: 베르누이와 로그 효용의 탄생

이 개념은 18세기 수학자 **다니엘 베르누이(Daniel Bernoulli)**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는 ‘상페테르부르크 역설(Saint Petersburg paradox)’을 설명하기 위해 로그 함수 형태의 효용 함수를 제안했습니다.

  • 그는 “돈의 효용은 금액의 로그에 비례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즉, 효용 함수 U(w)=log(w)U(w) = \log(w) 를 제안한 최초의 학자입니다.

이는 단지 이론이 아니라 실제 인간 심리와도 일치하는 형태였고, 이후 경제학자들은 이를 기반으로 위험 회피(risk aversion) 현상까지 설명하게 됩니다.


3. 🔁 반복적 의사결정과 Kelly 기준

로그 효용 함수가 더 강력한 설득력을 갖게 된 계기는 반복 게임장기 생존 전략에서였습니다.

  • Kelly Criterion(켈리 공식)은 “어떻게 도박에서 장기적으로 재산을 불리지?”라는 질문에 대한 수학적 답입니다.

  • 여기서도 **기하평균(log 수익률의 평균)**이 중심 개념입니다:

maxE[log(w+x)]

즉, 단기적인 기대 수익이 아닌, 장기적인 생존 가능성과 복리 수익률을 고려한 의사결정 모델입니다.

👉 이때도 등장하는 함수가 바로 로그 함수이며, 그 핵심은 동일합니다:

log(w+xw)

4. 🎯 왜 로그인가? (수학적 특징)

로그 함수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사결정 모델링에 적합합니다:

특성설명
체감 증가재산이 커질수록 효용은 느리게 증가
기하 평균과 일치반복 의사결정에서 실제 성장률과 동일
위험 회피 반영큰 손실에 대한 강한 회피 성향 표현 가능
비율적 사고인간이 실제로 따르는 판단 방식 반영

✅ 정리

“로그 형태의 상대 재산 증가율”은 단순한 수학적 변형이 아니라,

  • 인간의 심리,

  • 반복적인 현실 선택 구조,

  • 장기 생존 전략

이 세 가지가 결합되어 자연스럽게 도출된 결과입니다.

📌 우리가 로그 효용 함수 log((w+x)/w)\log((w + x)/w)를 쓰는 이유는,
단지 수학적으로 깔끔해서가 아니라,
실제 인간이 그렇게 사고하고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제너 다이오드에 저항을 연결하는 이유

[주식] 한국거래소(KRX) 데이터 API 입문 가이드

[농사]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

NPN, PNP 트랜지스터 차이점

[PLC] 절연 변압기 (Isolation Transformer)

전력(kW) 계산하기 (직류, 교류 단상, 교류 삼상)

[수학] 정규분포 식은 어떻게 유도된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