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인플레이션은 왜 평균으로 돌아오려 할까?
📉 인플레이션은 왜 평균으로 돌아오려 할까?
– 평균 회귀(mean-reverting) 모델 쉽게 이해하기
🧭 인플레이션에도 ‘되돌아가는 힘’이 있다?
경제 데이터를 분석하다 보면 놀라운 패턴 하나를 발견하게 됩니다. 바로 인플레이션이 장기적으로는 평균 수준으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죠. 이를 경제학에서는 평균 회귀(mean-reversion) 현상이라고 부릅니다.
🔁 평균 회귀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해, 어떤 지표가 장기 평균에서 벗어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평균으로 돌아가는 성질입니다. 예를 들어,
-
인플레이션이 너무 높아지면 → 긴축정책 등으로 낮아지고
-
너무 낮아지면 → 경기부양 등으로 다시 올라가며
-
결국 장기 평균으로 회귀합니다.
🧮 수식으로 표현하면?
이러한 성질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
inf_t
: 올해의 인플레이션율 -
μ (뮤)
: 장기 평균 인플레이션 -
φ (파이)
: 평균 회귀 속도 (0 < φ < 1) -
ε_t
: 외부 충격(예: 전쟁, 코로나 같은 예측 불가능한 요소)
해석:
👉 이번 인플레이션의 평균 편차는, 지난번 편차의 일부만큼 유지되며 외부 충격이 추가됨.
🔄 AR(1) 모형으로 다시 쓰기
위 수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됩니다:
여기서 c = (1 - φ)μ
는 상수항입니다. 이건 우리가 흔히 아는 AR(1) (자기회귀 1차) 모형이죠!
즉, 이번 인플레이션은:
-
지난번 인플레이션,
-
일정한 평균 회귀 정도(φ),
-
외부 충격(ε)
이 세 가지 요소의 합이라는 것입니다.
📊 직관적인 예시
-
μ = 2% (장기 평균 인플레이션)
-
지난 인플레이션 inf_{t-1} = 4%
-
φ = 0.5 (절반 정도 회귀)
👉 이번 인플레이션은?
즉, 인플레이션은 평균(2%) 쪽으로 1만큼 내려오며 되돌아가는 중입니다.
📌 왜 중요한가?
이 모델은 단순하지만, 정책 예측, 채권 금리 예측, 자산 배분 전략 등에서 핵심적으로 쓰입니다. 특히, 평균 회귀 속도(φ)를 잘 추정하면 미래 인플레이션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죠.
✅ 마무리 정리
개념 | 설명 |
---|---|
평균 회귀 | 평균에서 벗어난 값이 다시 평균으로 되돌아가려는 경향 |
φ (phi) | 평균 회귀 속도 (0 < φ < 1일수록 점진적 회귀) |
ε_t | 외부 충격(예측 불가능한 요인) |
AR(1) 모델 | 자기회귀 1차 모델로 쉽게 표현 가능 |
👉 요점:
인플레이션은 "평균으로 돌아오려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이를 수식적으로는 AR(1) 형태로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이 단순한 모델이 실제 금융 및 경제 예측에서 매우 강력한 도구로 쓰이고 있다는 점, 놀랍지 않나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