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인플레이션 위험과 데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모델링
📈 인플레이션 위험과 데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모델링
최근 몇 년간 인플레이션은 많은 사람들의 투자 전략과 자산 계획에 큰 영향을 주는 이슈가 되었습니다. 특히 은퇴자나 장기 투자자에게 **인플레이션 위험(inflation risk)**은 절대 간과할 수 없는 요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플레이션 위험을 어떻게 데이터로 측정하고, 시뮬레이션 모델에 반영할 수 있는지를 알아봅니다.
🔥 인플레이션이 왜 중요한가?
은퇴 계획이나 장기 자산 운용에서는 "내 돈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 수 있을까?"가 핵심입니다. 그런데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 실질 구매력은 시간이 지날수록 줄어들게 됩니다.
-
자산이 많더라도 물가가 빠르게 오르면, 예상보다 일찍 자금이 소진될 수 있음
-
반대로, 인플레이션이 낮게 유지되면, 장기 자산 지속 가능성이 높아짐
이런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해 우리는 **시뮬레이션(Monte Carlo)**에 인플레이션을 반영해야 합니다.
💡 인플레이션을 어떻게 모델링할까?
많은 사람들이 주식 수익률처럼 **무작위(white noise)**로 인플레이션을 모델링하지만, 사실 인플레이션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인플레이션의 특성:
-
**랜덤 워크(random walk)**에 가까움: 높은 인플레이션 뒤에는 또 높은 인플레이션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
-
평균 회귀(mean-reversion) 특성도 있음: 장기적으로는 일정 수준으로 되돌아가려는 경향
📌 이처럼 "랜덤 워크 + 평균회귀" 성격을 갖는 데이터는
Ornstein–Uhlenbeck 과정, 또는 AR(1) 모델(자기회귀 모델)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실제 인플레이션 데이터 받아오기
미국 연준(Federal Reserve)의 **FRED(Federal Reserve Economic Data)**는 인플레이션을 포함한 다양한 경제 지표를 제공합니다.
대표적으로 CPI-U는 도시 소비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가장 널리 쓰이는 물가지수입니다.
▶️ Python 코드로 연간 인플레이션율 계산하기
출력 예시:
날짜 | CPI 지수 | 연간 인플레이션율 |
---|---|---|
2019-12-31 | 256.974 | 2.13% |
2020-12-31 | 260.474 | 1.36% |
2021-12-31 | 278.802 | 7.04% |
2022-12-31 | 296.797 | 6.45% |
2023-12-31 | 305.512 | 2.93% |
🧠 이 데이터를 어디에 활용할까?
이렇게 얻은 연간 인플레이션율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분석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AR(1) 모형 추정 → 인플레이션 시계열의 미래 패턴 예측
-
은퇴 자산 시뮬레이션에서 인플레이션을 변수로 포함
-
리스크 관리 시나리오 작성: 고인플레이션/저인플레이션 시기별 시뮬레이션
📝 마무리
인플레이션은 단순히 하나의 숫자가 아니라, 장기 자산 계획 전체를 뒤흔들 수 있는 중요한 변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단순 고정값이 아닌, 변동성을 반영한 현실적인 인플레이션 모델을 만들어야 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