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딩] 평균과 표준편차만으로 자산을 분석할 수 있을까?

 

📊 평균과 표준편차만으로 자산을 분석할 수 있을까?

많은 투자 입문자들이 이렇게 질문하곤 합니다:

“단순히 평균 수익률과 표준편차만 가지고, 자산을 평가할 수 있을까?”

정답은 **“부분적으로는 가능하다”**입니다. 표준편차(위험)와 평균 수익률(보상)을 기준으로 각 자산의 위치를 시각화하면, 투자 판단에 도움이 되는 기초적인 직관을 얻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만으로는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할 수는 없지만, 리스크-리턴의 기본 구조를 이해하는 데는 매우 유용합니다.


🐍 Python 코드로 그려보는 리스크-보상 그래프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자산 정보 stocks = ['FE', 'WMT', 'AAPL'] mu = [0.04, 0.09, 0.12] # 평균 수익률 sigma = [0.15, 0.20, 0.35] # 표준편차 (위험) def plot_points(mu, sigma, stocks): plt.figure(figsize=(8,6)) plt.scatter(sigma, mu, c='black') plt.xlim(0, 0.45) plt.ylim(0, 0.25) plt.ylabel('Mean') plt.xlabel('Standard Deviation') for i, stock in enumerate(stocks): # 각 자산에 이름 표시 plt.annotate(stock, (sigma[i], mu[i]), ha='center', va='bottom', weight='bold') plot_points(mu, sigma, stocks) plt.show()

🖼️ 시각화 결과



이 그래프는 x축을 위험(표준편차), y축을 수익률(평균)으로 나타냅니다. 점 하나하나는 개별 주식(FE, WMT, AAPL)을 의미합니다. 이 단순한 그림만으로도 몇 가지 직관을 얻을 수 있습니다.


📌 해석: 어떤 자산이 더 “좋은”가?

우리가 원하는 자산은 이렇습니다:

  • 수익률이 높고

  • 위험은 낮은

즉, 왼쪽 위로 갈수록 좋은 자산입니다. 아래는 각 자산의 “위험 대비 보상 비율 (Sharpe ratio 간이판)”을 계산한 결과입니다:

종목평균수익률 μ표준편차 σμ/σ (위험 대비 수익)
FE4%15%0.267
WMT9%20%0.450
AAPL12%35%0.343

위 표를 보면 WMT는 비교적 적당한 위험으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자산이라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해석은 단순하지만 초보 투자자에게는 매우 유익한 출발점이 됩니다.


🚫 한계: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표준편차와 평균 수익률만으로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요소들이 빠져 있습니다:

  1. 자산 간 상관관계

    • AAPL과 FE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가?

    • 이 정보를 알지 못하면 포트폴리오 구성 시 분산투자의 이점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2. 포트폴리오 최적화 불가

    • 공분산 행렬 없이 포트폴리오 전체의 위험을 계산할 수 없습니다.

    • 따라서 최적의 자산 배분(weighting)도 불가능합니다.


✅ 마무리: 다음 단계는?

이번 글에서는 단일 자산 관점에서 위험과 보상 간의 관계를 시각화해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다음 주제로 확장할 예정입니다:

  • 자산 간 공분산 행렬 계산

  • 포트폴리오 수익률과 리스크 계산

  • 효율적 투자선(Efficient Frontier) 그리기


💡 “투자의 출발점은 직관이고, 성공은 수학시스템으로 완성된다.”

이 시리즈를 계속해서 따라가면, 여러분은 직접 Python으로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하는 퀀트 투자자가 될 수 있습니다.
👉 다음 글에서 만나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제너 다이오드에 저항을 연결하는 이유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주식] 한국거래소(KRX) 데이터 API 입문 가이드

[농사]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

NPN, PNP 트랜지스터 차이점

[PLC] 절연 변압기 (Isolation Transformer)

전력(kW) 계산하기 (직류, 교류 단상, 교류 삼상)

[수학] 정규분포 식은 어떻게 유도된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