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연속 복리 수익률이란?
📘 연속 복리 수익률이란?
퀀트 투자와 금융공학이 사랑하는 수익률 계산 방식
📌 투자 수익률, 단순히 "몇 %"로 설명할 수 있을까?
우리는 흔히 "이번 주식 투자로 10% 벌었어!" 같은 말을 하곤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수익률은 대부분 **단순 수익률 (simple return)**입니다. 계산도 쉽고 직관적이죠.
하지만 투자 시계열 분석, 장기 포트폴리오 관리, 금융공학 등 수학적 정확성과 계산의 편의성이 중요한 분야에서는 연속 복리 수익률 (Continuously Compounded Return), 즉 로그 수익률이 훨씬 더 강력한 도구로 쓰입니다.
🔎 연속 복리 수익률이란?
🧮 정의
연속 복리 수익률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
: 단순 수익률
-
: 현재 가격
-
: 이전 가격
즉, 수익률을 로그로 변환하여 표현한 값이며, 수익률이 시간이 지나면서 연속적으로 복리로 쌓이는 효과를 수학적으로 표현한 방식입니다.
✅ 왜 연속 복리 수익률을 사용할까?
1. 기간 수익률을 더하기만 하면 누적 가능
-
로그 수익률은 단순히 더하면 누적 수익률이 계산됨
-
반면 단순 수익률은 식처럼 곱해야 함
2. 정규분포로 모델링하기 좋음
-
로그 수익률은 대체로 정규분포에 가까운 형태를 띠기 때문에, 통계 분석이나 리스크 모델링에 유리
3. 금융공학과 수학 모델에 최적화
-
블랙-숄즈 옵션 가격 모형 등에서는 로그 수익률이 기본 단위
-
도함수, 적분, 확률분포 등 수학적 처리가 쉬움
4. 위험관리 및 포트폴리오 분석에 유리
-
Value at Risk (VaR), 샤프지수, 기대수익률 등을 더 정밀하게 계산할 수 있음
📊 예시: 단순 수익률 vs 로그 수익률
구간 | 단순 수익률 | 로그 수익률 |
---|---|---|
$100 → $110 | 10% | ln(110/100) ≈ 9.53% |
$110 → $121 | 10% | ln(121/110) ≈ 9.09% |
전체 ($100 → $121) | 21% | ln(121/100) ≈ 19.0% |
로그 수익률 누적 | - | 9.53% + 9.09% ≈ 18.62% |
-
단순 수익률은 곱해서 누적해야 하지만
-
로그 수익률은 합산만으로 누적 가능하여 수학적으로 편리합니다
📉 예외: 언제 단순 수익률이 더 나을까?
구분 | 단순 수익률이 유리한 경우 |
---|---|
✅ 일반 투자 보고 | "이번 달 5% 올랐어요!" |
✅ 단기 성과 평가 | 복리 효과가 거의 없을 때 |
✅ 투자자 설명 | 로그보다 직관적임 |
📌 요약: 어떤 수익률을 언제 쓸까?
항목 | 단순 수익률 | 연속 복리 수익률 (로그 수익률) |
---|---|---|
계산 방식 | ||
누적 방법 | 곱셈 | 덧셈 |
직관성 | 높음 | 낮음 |
수학적 편의성 | 낮음 | 높음 |
분포 가정 | 제약 있음 | 정규분포 가정 자연스러움 |
사용 예 | 투자 성과 보고서 | 퀀트 분석, 금융공학, 리스크 관리 |
🧪 마무리: 어떤 수익률이 '진짜'일까?
-
단순 수익률은 보기 좋고 설명하기 쉬운 수치
-
로그 수익률은 계산하기 좋고, 시간 흐름에 따른 누적을 다루기 적합
👉 실전에서는 두 수익률을 상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기적이고 수학적인 분석엔 로그 수익률을,
짧은 기간 투자성과를 보여줄 땐 단순 수익률을 활용하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