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습도 제어 : 펠티어 활용 아이디어
🌿 수경재배에서 습도 낮추기: 저비용 펠티어 제습기와 냉온기 재활용 방법
수경재배는 깔끔하고 효율적인 재배 방식이지만, 실내 습도 관리는 꽤 까다롭습니다.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는 곰팡이, 뿌리 썩음, 병해충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제습이 필수입니다. 하지만 시중의 제습기는 고가이고, 수경 온실의 특성에 딱 맞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저예산으로 제습기를 만드는 방법과 함께, 펠티어 소자를 활용해 냉기와 온기를 자동으로 재활용하는 기술까지 소개합니다.
🔧 1. 펠티어 소자를 활용한 저비용 제습기 만들기
✔ 펠티어(Peltier)란?
펠티어 소자는 전류를 흘리면 한쪽은 차가워지고, 반대쪽은 뜨거워지는 소형 반도체 장치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아래처럼 응축형 제습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 기본 구성
부품 | 역할 |
---|---|
펠티어 소자(TEC1-12706) | 냉각과 발열 동시 발생 |
히트싱크 & 팬 | 열 방출 |
알루미늄 냉각판 | 응축수 발생 |
수분받이 트레이 | 물 수집 |
실리카겔/염화칼슘 | 보조 흡습제 |
전원 아답터(12V 5A 이상) | 전체 구동용 |
✔ 제작 개요
-
펠티어 냉각면에 알루미늄 판을 부착하여 공기 중 수분을 물로 응축
-
물은 아래 트레이로 떨어짐
-
남은 습기는 실리카겔 박스를 통해 공기 여과
-
팬으로 공기를 순환시켜 제습
💡 총 비용은 약 2~3만 원 수준으로, 소형 제습기를 DIY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 2. 펠티어 냉기/온기 재활용 시스템
펠티어 소자는 냉기만 만들어내는 게 아닙니다. 동시에 뜨거운 면도 발생하므로, 이를 온실 내부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 아이디어
-
여름엔 → 냉기만 온실 내부로 보내고 뜨거운 공기는 밖으로
-
겨울엔 → 뜨거운 공기만 온실 내부로 보내고 냉기는 밖으로
🧠 3. 팬 통로 자동 제어 시스템
온실 내부의 온도에 따라 펠티어 냉온기의 바람 방향을 자동 제어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식이 유용합니다.
✔ 구성 요소
-
DHT22 센서: 온습도 측정
-
아두이노/ESP32: 제어 로직 처리
-
릴레이 or MOSFET: 팬 스위칭
-
서보모터 or 덕트 게이트: 바람 방향 전환
✔ 작동 로직 예시
✔ 제어 방식 2가지
-
팬 ON/OFF 방식: 팬을 따로 달고 각각 켜고 끔 (간단)
-
덕트 전환 방식: 서보모터로 바람길을 물리적으로 전환 (고급형)
🧪 4. 냉기/온기 활용 팁
냉기측 처리 | 온기측 처리 |
---|---|
알루미늄 냉각판 사용 | 히트싱크 + 팬 |
응축수 배출 경로 확보 | 온실 내부 순환 배관 |
단열 처리 강화 | 외기와 단열 구분 |
흡습제 보조 장착 | 온기 사용 시 과습 방지 필요 |
🏁 5. 결론
항목 | 실현 가능성 | 장점 | 비고 |
---|---|---|---|
펠티어 제습기 | 매우 높음 | 저비용, 제작 쉬움 | 소형 공간에 적합 |
냉기 재활용 | 높음 | 온실 냉방 효과 | 팬/덕트 제어 필요 |
온기 재활용 | 가능 | 겨울철 난방 보조 | 온실 구조 고려 |
자동화 시스템 | 높음 | 무인 운용 가능 | 아두이노/ESP32 사용 추천 |
수경재배는 단순히 물을 주는 것이 아니라, 공기와 온도, 습도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효율이 높아집니다. 이번에 소개한 저비용 스마트 제습 시스템은 작물의 건강과 성장 속도 향상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