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왜 주식 가격은 로그정규분포를 따를까?
💹 왜 주식 가격은 로그정규분포를 따를까?
주식 투자나 금융공학을 공부하다 보면 자주 듣게 되는 말이 있습니다.
"주식 가격은 로그정규분포(lognormal distribution)를 따른다."
하지만 왜 하필 로그정규분포일까요?
왜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가 아니라 로그정규분포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이 질문에 대해 쉽고 직관적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 먼저, 로그정규분포란?
로그정규분포란 말 그대로, 로그를 취하면 정규분포가 되는 분포를 말합니다.
즉, 어떤 확률 변수 가 로그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것은:
다시 말해, 자체는 비대칭적인 분포를 가지지만, 는 대칭적인 정규분포를 따릅니다.
💡 핵심 개념: 수익률(Return)은 정규분포, 가격(Price)은 로그정규분포
주식 시장에서는 가격 그 자체보다는 수익률(%), 즉 변화량이 더 중요합니다.
-
로그 수익률(log return):
이 수익률은 여러 장점 때문에 금융 수학에서 자주 사용되며,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합니다.
-
그렇다면 주식 가격은?
수익률 이 정규분포라면, 가격 는 지수 함수 형태, 즉 로그정규분포를 따릅니다.
📈 왜 정규분포가 아니라 로그정규분포인가?
✅ 1. 음수 가격은 존재할 수 없다
정규분포는 -∞부터 +∞까지 모든 실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 가격은 절대 0보다 작을 수 없습니다.
즉, 정규분포로는 가격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반면, 로그정규분포는 항상 양수입니다 → 적절한 모델
✅ 2. 복리(compounding)와 관련이 깊다
주식 가격은 시간에 따라 누적 수익률에 의해 변화합니다.
수익률이 일정 간격마다 복리로 누적되면, 이는 곧 지수 함수적 증가/감소를 의미합니다.
-
예: 매일 1% 상승 → 100원 → 101원 → 102.01원 → ...
-
이처럼 수익률은 정규분포, 가격은 지수 함수 → 로그정규분포
✅ 3. 실제 시장 데이터와도 잘 맞는다
실제 주식 시장의 데이터를 보면 가격 분포는 종 모양이 아니라, 오른쪽으로 긴 꼬리를 가진 비대칭 분포를 보입니다.
이는 로그정규분포의 대표적인 특징입니다.
🧮 수학적으로는 이렇게 설명할 수 있어요
-
로그 수익률
-
양변에 지수(exp) 함수 취하면
-
즉, 는 로그정규분포를 따르게 됩니다.
🧠 요약하면
구분 | 분포 형태 | 이유 |
---|---|---|
수익률 | 정규분포 | 시간에 따라 독립적인 변동성, 대칭적 |
가격 | 로그정규분포 | 음수가 될 수 없고, 누적 효과(복리) |
로그(가격) | 정규분포 | 로그 변환 후 수익률처럼 취급 가능 |
✍️ 마무리: 왜 중요할까?
금융 모델링이나 옵션 가격 결정 모형(예: 블랙-숄즈 모델)에서는 자산 가격이 로그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을 자주 사용합니다.
이를 이해하고 있으면:
-
수익률 계산, 위험 분석, 포트폴리오 시뮬레이션 등에 적용할 수 있고
-
데이터가 왜 그렇게 움직이는지 직관적 이해가 가능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