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상장지수포트폴리오란? ETF와 ETN의 차이와 이해
📊 상장지수포트폴리오란? ETF와 ETN의 차이와 이해
금융투자 상품 중 ‘ETF(상장지수펀드)’라는 이름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ETF 외에도 비슷한 방식으로 거래되면서도 조금 다른 특성을 가진 투자 상품들이 있습니다. 이를 아우르는 개념이 바로 **“상장지수포트폴리오(Exchange Traded Portfolios)”**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ETF뿐 아니라 ETN 등 다양한 상장지수포트폴리오의 개념과 차이점을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상장지수포트폴리오(Exchange Traded Portfolios)란?
‘상장지수포트폴리오’라는 용어는 월스트리트저널 등에서 다양한 투자상품을 아우르기 위해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ETF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ETF처럼 거래되고 비슷한 역할을 하는 여러 투자상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
ETF뿐 아니라
-
ETN(상장지수노트), 기타 유사 상품들도 포함
-
실무 및 업계에서는 구분 없이 모두 ‘ETF’로 부르는 경우가 많음
💡 ETF와 비슷하지만 엄밀히 다르다: ETN (Exchange Traded Notes)
대표적인 예가 **바클레이즈 은행(Barclays Bank)**의 iPaths라는 상품입니다.
이들은 엄밀히 펀드가 아니라, **‘상장지수노트(ETN)’**라는 금융상품입니다.
ETN의 특징
-
**무담보 채무증권(debt obligation)**으로서 은행이 발행
-
특정 시장지수의 성과를 추적
-
이자 지급이나 배당금이 없음
-
성과 보장 없음
-
시장 총수익률을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으로 투자자에게 지급
-
ETF처럼 거래소에서 자유롭게 매매 가능
-
하지만 ETF와는 다른 세금 체계 적용
🔍 ETF와 ETN, 무엇이 다를까?
구분 | ETF (Exchange Traded Fund) | ETN (Exchange Traded Note) |
---|---|---|
법적 형태 | 투자신탁(펀드) | 은행이 발행하는 무담보 채무증권 |
이자/배당 | 배당 가능 | 없음 |
위험 | 펀드 운용위험 있음 | 발행 은행의 신용위험 있음 |
세금 | 펀드 투자소득 과세 | 채권 투자소득 과세 (차이 있음) |
거래 | 증권거래소에서 실시간 거래 | 증권거래소에서 실시간 거래 |
🏷️ 실무에서 ‘ETF’라는 용어의 편리함
기술적으로 구분되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ETF처럼 거래되고 비슷한 역할을 한다면’ 구분을 엄격히 하지 않아도 큰 문제가 없을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실무에서는 상장지수포트폴리오 전체를 통칭해 ‘ETF’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 마무리하며
-
상장지수포트폴리오는 ETF뿐 아니라 ETN 등 다양한 투자 상품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입니다.
-
ETF와 ETN은 구조와 세금, 위험 측면에서 차이가 있지만, 모두 증권거래소에서 주식처럼 거래됩니다.
-
투자할 때는 이 차이점을 이해하고 본인의 투자 목적과 위험 선호도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