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커버드콜 ETF + 인버스 ETF 헷지 실험

 

코스피 커버드콜 ETF와 인버스 ETF를 활용한 헷지 전략

코스피 지수를 추종하는 ETF 중에서 커버드콜 ETF를 매수하고, 동시에 코스피 인버스 ETF를 활용하여 시장 방향성을 헷지하면서 배당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소개합니다.


1. 전략 개요

코스피 커버드콜 ETF란?

커버드콜 ETF는 주식 100% 롱 + 콜옵션 매도 전략을 결합한 상품입니다. 일반적으로 코스피 지수를 추종하면서 동시에 콜옵션을 매도하여 **프리미엄(배당 수익)**을 발생시키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상승장에서 수익이 제한되지만, 비교적 높은 배당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코스피 인버스 ETF란?

코스피 인버스 ETF는 코스피 지수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품입니다. 즉, 코스피가 하락할 때 이익이 발생하는 구조로, 커버드콜 ETF의 주가 변동 리스크를 헷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략 목표

이 전략의 핵심 목표는 배당 수익 극대화 + 시장 방향성 리스크 최소화입니다. 이를 위해 커버드콜 ETF와 인버스 ETF의 비중을 조정하여 시장 변동성을 완화하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합니다.


2. 비중 설정 방법

1) 이론적 중립 포트폴리오 비중

  • 커버드콜 ETF는 주식 100% 롱 + 콜옵션 매도
  • 인버스 ETF는 주식 -100% 숏과 유사
  • 따라서 이론적으로 커버드콜 50% + 인버스 50% 배분 시, 시장 방향성(델타) 중립 가능

즉, 1:1 비율이면 코스피 지수 변동에 대한 리스크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2) 배당 수익 최적화 비중

  • 커버드콜 ETF의 배당수익률이 6%, 인버스 ETF의 비용(운용비, 슬리피지 등)이 **1.5%**라고 가정하면,
    • 커버드콜 60% + 인버스 40% 배분 시, 연간 순배당 수익은: 60%×6%40%×1.5%=2.7%60\% \times 6\% - 40\% \times 1.5\% = 2.7\%

즉, 배당을 극대화하려면 인버스 비중을 다소 줄이는 것이 유리합니다.

3) 변동성 고려한 비중 조정

  • 시장 변동성이 낮을 때커버드콜 70%, 인버스 30% (배당 수익 극대화)
  • 시장 변동성이 높을 때커버드콜 50%, 인버스 50% (리스크 중립 유지)
  • 급격한 하락장 예상 시커버드콜 40%, 인버스 60% (방어적인 포트폴리오)

3. 결론: 추천 포트폴리오 비중

시장 중립 전략: 커버드콜 50% + 인버스 50%

👉 시장 방향성에 대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배당을 확보하는 전략

배당 최적화 전략: 커버드콜 60~70% + 인버스 30~40%

👉 배당 수익을 극대화하면서도 적절한 헷지를 유지하는 전략

변동성 조절 전략: 변동성에 따라 인버스 비중 탄력 조정

👉 시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는 전략

이 전략을 활용하면 시장 방향성을 예측하지 않고도 배당 수익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시장 변동성에 따라 인버스 ETF의 손실이 커질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리밸런싱이 필요합니다.

배당 수익과 헷지를 동시에 활용하는 스마트한 전략으로 안정적인 투자 수익을 기대해 보세요! 🚀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제너 다이오드에 저항을 연결하는 이유

전력(kW) 계산하기 (직류, 교류 단상, 교류 삼상)

[PLC] 프로그래밍 - SFC Conversion 기법 (1)

[자동화] 안쓰는 안드로이드폰을 활용한 식물 성장 타임랩스 촬영

커패시터에 저장된 에너지 계산

[스마트팜] 유기농 비료에 관한 책 추천: 자연 친화적인 농업을 위한 필독서

[스마트팜] 코코피트 수경재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