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ETF 인덱스 전략 완전 정복 – 지수를 이해해야 ETF가 보인다

 

📊 ETF 인덱스 전략 완전 정복 – 지수를 이해해야 ETF가 보인다

ETF는 단순히 주식처럼 사고파는 펀드가 아닙니다. 대부분의 ETF는 **특정 지수(index)**를 따라 움직입니다. 그렇다면 이 지수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기준으로 종목이 선택되고, 비중이 정해지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ETF 투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The ETF Book』의 내용을 바탕으로, ETF가 따르는 지수의 유형과 구조를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ETF가 따르는 두 가지 지수 유형

ETF는 크게 **시장 지수(Market Index)**와 **맞춤형 지수(Custom Index)**를 따릅니다.

📌 1. 시장 지수 (Market Index)

  • 대표적인 예: S&P 500, 나스닥 100

  • 시가총액(capitalization) 기준으로 종목을 선택하고 비중을 정합니다.

  • 패시브 전략의 대표격으로, 특정 시장 전체의 움직임을 그대로 따라가려는 목적입니다.

📌 2. 맞춤형 지수 (Custom Index)

  • 지수 제공자가 종목 선정이나 비중 조정에 적극 개입

  • 예: 고배당 지수, ESG 지수, 펀더멘털 기반 지수 등

  • 전략적인 지수 구성으로 수익률을 개선하거나 위험을 줄이려는 목적이 강합니다.


🧠 Index Strategy Box: ETF 전략 한눈에 보기

ETF 인덱스 전략을 가장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도구는 바로 Index Strategy Box입니다. 일종의 틱택토 박스 구조로 되어 있으며, 두 가지 축으로 구성됩니다:

시가총액 기준펀더멘털 기준고정 비중
패시브 선정전통적인 ETF스마트베타 일부동일비중 ETF 등
스캔 기반 선정고배당/가치주 ETFESG, 인컴 ETF전략 ETF 등
퀀트 기반 선정팩터 ETFAI 기반 ETF 등리서치 주도 ETF

🔍 종목 선정 방식: ETF의 철학을 보여준다

**종목 선정(Security Selection)**은 ETF의 성격을 결정짓는 핵심입니다. 대표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패시브(Passive): 시장 전체를 반영 (예: S&P 500)

  2. 스캐닝(Screening): 고배당주, 저PER 등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종목 필터링

  3. 퀀트(Quantitative): 수학적 모델, 팩터 분석 기반 알고리즘으로 종목 선택

무엇을 넣는가 못지않게 무엇을 뺐는가도 중요합니다. 같은 S&P 500을 추종해도 필터 기준이 달라지면 성과도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종목 비중 설정: 수익률과 리스크의 중심

**종목 비중(Security Weighting)**도 ETF 전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대표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가총액 기반 (Cap-weighted): 큰 회사에 높은 비중 (안정적이지만 쏠림 발생 가능)

  2. 펀더멘털 기반 (Fundamental-weighted): 매출, 순이익, 배당 등 실적에 따라 비중 조정

  3. 고정 비중 (Equal-weighted): 모든 종목에 동일 비중 (리스크 분산 효과 있음)

비중 설정 방식만 바뀌어도 동일한 종목으로 구성된 ETF라도 성과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마무리: ETF 분석은 ‘지수’를 보는 눈에서 시작된다

ETF는 단순히 “좋은 테마”나 “유망한 시장”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지수를 얼마나 똑똑하게 구성했는가에 따라 성과가 갈립니다.

다음번 ETF를 고를 때는 다음 3가지를 꼭 확인해보세요:

  1. 어떤 지수를 따르고 있는가?

  2. 종목은 어떻게 선정되는가?

  3. 종목의 비중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ETF의 진짜 얼굴은 지수 전략 안에 숨어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제너 다이오드에 저항을 연결하는 이유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주식] 한국거래소(KRX) 데이터 API 입문 가이드

[농사]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

NPN, PNP 트랜지스터 차이점

[PLC] 절연 변압기 (Isolation Transformer)

[수학] 정규분포 식은 어떻게 유도된 걸까?

[PLC] PLC 입출력 타입 - 싱크 & 소스 (Sink &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