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딩] KT 기대값(산술 기대값)과 로그 기대값(복리 관점)의 차이

 

🧠 사람은 왜 확실한 선택을 선호할까?

기대값과 로그 기대값의 차이로 보는 투자 심리학

1979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Daniel Kahneman과 심리학자 Amos Tversky는 심리학 실험을 통해 사람들의 의사결정이 얼마나 비합리적일 수 있는지를 보여줬습니다.
그들의 논문 ["Prospect Theory: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ty"]는 오늘날 행동경제학의 출발점이 되었죠.


🎲 문제: 당신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시겠습니까?

두 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Gamble A

결과확률
2,500원33%
2,400원66%
0원1%

Gamble B

결과확률
2,400원100%

실험 참가자들에게 위 두 선택지 중 하나를 고르도록 했습니다.


📈 산술 기대값 (KT 기대값)

먼저 확률에 따라 곱해서 더해봅시다.

  • Gamble A의 기대값:

    0.33×2500+0.66×2400+0.01×0=825+1584+0=2,409
  • Gamble B의 기대값:

    1.00×2400=2,400

❗ 즉, Gamble A가 기대값이 더 높습니다. 수학적으로는 A가 ‘합리적인 선택’이 되어야 합니다.


🧑 그런데 사람들은?

놀랍게도, 실험 결과는 이랬습니다:

선택선택 비율
Gamble A18%
Gamble B82%

🙄 왜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대값이 더 낮은 Gamble B를 택했을까요?


🔍 로그 기대값(Log Utility)으로 다시 보기

기대값만으로는 사람의 심리적 가치 판단을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로그 기대값(Logarithmic Expectation), 즉 복리 관점의 기대값을 도입하면 훨씬 더 설득력 있는 설명이 됩니다.


📊 로그 기대값이란?

로그 기대값은 **“현재 자산에 비해 수익이 얼마나 의미 있는가”**를 따지는 관점입니다.

수식:

U=ipilog(w+xiw)
  • ww: 현재 자산 (예: 학생의 여윳돈 100달러)

  • xix_i: 수익

  • pip_i: 각 수익이 나올 확률

이 수치는 장기적으로 복리 수익률을 최대화하는 관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 로그 기대값 계산 결과 (예시: w = 100달러)

선택KT 기대값로그 기대값선택 비율
Gamble A2,4093.2018%
Gamble B2,4003.2282%

로그 기대값 기준으로 보면, 확실하게 2,400원을 얻는 Gamble B가 더 좋습니다!
사람들의 선택은 로그 기대값 기준에서는 합리적이었던 것입니다.


🧠 왜 로그 기대값이 더 현실적인가?

  1. 복리적 사고:
    실제 투자는 단발성보다 누적 수익(compound return)이 중요합니다. 로그는 이를 잘 반영합니다.

  2. 리스크 민감도 반영:
    자산이 적을수록 손실에 대한 반응이 훨씬 큽니다. 로그 함수는 자산이 작을수록 더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위험 회피 성향을 반영합니다.

  3. 경제적 현실성:
    대학생에게 2,400원은 주말 피자+맥주 비용일 수 있습니다. 이 돈을 1% 확률로 잃을 가능성은 그들에겐 무시할 수 없는 리스크죠.


✍️ 정리

구분산술 기대값 (KT)로그 기대값
기준단순 평균 수익자산 대비 상대 가치
리스크 고려❌ 없음✅ 있음
투자 적합성단기적 관점장기 복리 최적화
인간 심리 반영❌ 약함✅ 강함

🔚 결론

사람들이 확실한 선택을 선호하는 이유는 단순히 "비합리적"이어서가 아닙니다.
그들의 의사결정은 오히려 복리 관점, 즉 로그 기대값을 따르는 매우 합리적인 판단일 수 있습니다.

👉 투자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복리 수익률을 극대화하려면, 단순한 기대값이 아니라 로그 기대값을 고려한 의사결정이 필요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LC] PLC 아날로그 입출력 기본

[아두이노] 가변저항(Potential Divider)과 전압분배(Voltage Divider)

공압 속도 제어: 미터인 vs 미터아웃

제너 다이오드에 저항을 연결하는 이유

[주식] 한국거래소(KRX) 데이터 API 입문 가이드

[농사]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

NPN, PNP 트랜지스터 차이점

[PLC] 절연 변압기 (Isolation Transformer)

[PLC] PLC 입출력 타입 - 싱크 & 소스 (Sink & Source)

[농사] 토마토 수경재배 : 전기전도도(EC)